학술논문

기숙사 EBD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chool-life Stress on the EBD College Students’ Depression Residing in the Dormitor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Sep 30, 2019 58(3):1
Subject
생활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기숙사 대학생
조절효과
life stress
social support
depression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ies
moderating effects.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738-7205
Abstract
본 연구는 211명의 기숙사 거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스트레스가 그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기숙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에서, 기숙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들의 우울은 높다. 즉, 기숙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숙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은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숙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생활스트레스가 높은 기숙사 대학생은 그들의 대학생활에서 우울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기숙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숙사와 학교내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높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있는 기숙사 대학생은 우울이 낮다. 마지막으로 기숙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을 높이는 것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 기숙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조절 변인의 효과를 나타내어 우울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BD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residing in the dormi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lif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ies. Second, the life stress of dormitory resid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on. Third, the social supports of dormitory resid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on. Last, the social supports of dormitory resid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