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Variables Influenc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Language Ability : Comparing 4th- and 7th-Grad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육문화연구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Apr 30, 2022 28(2):169
Subject
다문화 청소년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교우관계
Multicultural adolescent
Korean language ability
Acculturation stress
self-esteem
Mother’s Korean ability
Peer relationship
Language
Korean
ISSN
1598-928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자아존중감, 이중문화 수용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정환경(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방임적 양육 태도), 학교환경(학습활동 적응, 교사 관계, 교우관계)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4학년 시기와 중학교 1학년 시기의 한국어 능력 예측요인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아버지: 한국인, 어머니: 외국인)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4학년 시점(1차: 학생과 학부모 각 1,560명)과 중학교 1학년 시점(4차: 학생과 학부모 각 1,329명)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에는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초등학교 시기와 달리 중학교 시기에는 추가적으로 교우관계가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능력을 구어와 문어로 구분해서 분석했을 때 구어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시기 모두 한국어 능력 전체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 시기의 문어에서는 학교환경 요인인 학습활동 적응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living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predictor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grad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7th graders) were compared. To this end, the data from 1,560 elementary school adolescents in the 1st-year survey and 1,329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the 4th-year survey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tudy” (MAP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eriods. Specifically,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and mother's Korean abilit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language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as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were greater in middle school tha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for spoken language,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results with the overall Korean language ability. For written language, the adaptability to learning activities as a school contextual characteristic w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elementary school. Implications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language ability were also discuss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