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리교과서 평가 기준의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ug 30, 2013 21(2):105
Subject
교과서 성격
교과서 평가
지리교과서 평가 기준
지리교과서 검정 기준
the nature of textbook
textbook evaluation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geography textbook authorization criteria
Language
Korean
ISSN
1226-511x
Abstract
본 연구는 지리교과서 평가 연구를 위한 출발선에서 현재의 지리교과서 평가 기준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우선 교과서의 성격과 교과서 평가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교과서 평가 기준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7차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리교과서 평가 기준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후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평가 기준을 추상적으로 서술하기보다는 구체화해야 한다. 둘째, 평가기준을 중복성이 아니라 배타성을 기반으로 구성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반영의 충실성보다는 재구성 정도를 평가해야 한다. 넷째, 내용의 정확성보다는 타당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섯째, 내용 공정성은 중립성보다는 공공성에 기반해야 한다. 여섯째, 보편적 평가 기준에서 벗어나 지리교과의 특수성을 살린 평가 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xisting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thoroughly and search way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the nature of textbook and textbook evaluation are theoretically discussed, and the existing researches of the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re examined. Based on this, after analysing geography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ritically, I suggested ways to solve problems found in the process. First, the descrip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concrete than abstract. Second, the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based on exclusivity, not redundancy. Third, to what degree the criteria are reconstructed, not how much they reflect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Fourth, the validity rather than the accuracy of the content should be emphasized. Fifth, fairness of the content should be geared towards publicness rather than neutrality. Sixth, in the criteria, the specialty of geography needs to emerge, stepping outside of universal evaluation criteria.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