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민역량조사표 분석을 통한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의 타당성 평가 -충청북도 현장포럼을 중심으로-
Feasibility Analysis of the Forum workshop outcome of the scene a resident capacity through Analysis of questionnaire - North Chungcheong Province, focusing on the Forum the scene -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Oct 23, 2015 2015:190
Subject
Facilitation
Facilitator
Language
Korean
English
Abstract
우리나라는 농촌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농촌지역 활성화를 바탕으로 농업, 농촌에 대한 위기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농촌에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시설건립, 기반정비 등 하드웨어 사업에 집중되어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시설 유지비 부족, 체험운영 여건 악화 등 사업 완료 이후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 같은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기 위해 농축산식품부에서는 그 지역의 특색 있는 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민의 마을사업 의지를 개선하고 사업추진 역량을 확보한 후 사업비를 투자하는 것으로 정책방향을 바꾸었으며,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 농촌현장포럼’이 추진되고 있다.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 농촌현장포럼은 4~5회에 걸쳐 주민들에게 농촌마을 개발사업의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주민주도로 마을발전과제를 도출할 수 있도록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워크숍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퍼실리테이터는 현장에서 주민과 직접 소통하며 주민 주도 마을발전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농촌현장포럼을 통한 워크숍 결과물은 이후 추진되는 예비계획 및 기본계획 수립에 활용되며 주민의 의사를 반영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주요과제 및 결과물의 도출에 면밀한 검토 및 검증과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을 검증하여 그 결과를 고찰한 연구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현장포럼 추진 시 실시되는 주민역량조사표와 실제 농촌 현장 포럼시 도출된 결과물을 분석하여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5개 마을의 주민역량조사표와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을 수집하였으며, 주민역량조사표의 주요 항목과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의 주요 항목을 상호 교차 분석하여 주요 과제들을 나열하였으며, 유사한 항목끼리 분류하였다. 주민역량조사 결과에 나타난 마을 생활 여건 만족도, 마을자원에 대한 인식,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 추진하기를 희망하는 사업 분야, 마을지도자 역량에 대한 인식, 마을공동체 활동 등에 대한 인식 등 총 6가지 항목과 주요 결과물을 비교하여 현장포럼 워크숍 결과물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