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동작품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복지시설 지도자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Collaborative Works on Belonging and Connectedness of Leaders of Youth Welfare Faciliti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Jan 01, 2023 14(1):3511
Subject
Group Art Therapy
Cooperative Works
Youth Welfare Facilities
Sense of Belonging
Connectedness
집단미술치료
협동작품
청소년복지시설
소속감
유대감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951-049X
Abstract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협동작품 중심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복지시설 지도자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J시의 청소년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를 실험ㆍ통제집단에 각 6명씩 할당하여 동질성검사를 실시하고 사전ㆍ사후검사를 행한 후에 실험집단에 총 14회기 매 주2회 회기 당 9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협동작품 중심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지도자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결론 및 제언: 협동작품 중심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청소년지도자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으며, 집단활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낸 것에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미적 완성감이 낮다는 점에서, 매체와 기법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미술치료프로그램과 청소년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자로서 역량개발의식을 고취시켜 줄 수 있는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ctive art therapy centered on collaborative works conducted on youth leaders in youth facilities on belonging and connectedness. Six leaders of youth welfare facilities in J city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homogeneity tests,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and a total of 14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Let’s find out whether the cooperative work-oriented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elonging and connectedness of youth leader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ooperative works had a positive effect on belonging and connectedness of youth leaders, and it was meaningful to actively engage in group activities called cooperative works. However, due to the low aesthetic completion of the work, it presented a research project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that can arouse interest with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raise a sense of competency development as a leader who can develop youth skill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