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초등학교 및 중학교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 for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cus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청람어문교육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Mar 31, 2024 98:151
Subject
의사소통 프로그램
듣기·말하기 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요구 조사
communication program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needs analysis
Language
Korean
ISSN
1598-196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초·중학교 교사 각각 147명, 156명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의 듣기·말하기 교육 및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활용 현황 및 이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듣기·말하기 수업을 어렵게 하는 주요 원인은 내용의 실제성 부족, 학생들 간 수준 차이, 보충 자료 부족 등이었다. 듣기·말하기 수업에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토론학습법, 협동학습법이 주로 쓰이고 있었고, 교과서 외 별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접근성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듣기·말하기 수업 시 별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없이 교과서만으로 충분히 듣기·말하기 교수학습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부정적 응답의 비중이 높았으며,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 신장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으로는 정규 수업 시간 외 보충 학습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거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활용하는 데 대하여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6~10차시 구성이 가장 선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네 가지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schools. As a result, the lack of content authenticity, student-level differences, and the lack of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identified as causes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Discussion/debate learning methods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were mainly used, separat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not us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available programs. The negative responses that the use of textbooks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was insufficient, and the positive responses on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by level were high. As a way to utilize the communication program, it had high responses using it as a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ut of regular class hours or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the 6 to 10 instructional sessions was the most prefer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fou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