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를 경험한 농어촌지역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직업가치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in Rural & Fishing Village who experienced COVID-19 on Career Identit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도서연구 /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Dec 31, 2023 35(4):333
Subject
rural & fishing village areas
농어촌지역
self-leadership
셀프리더십
occupational values
직업가치관
career identity
진로정체감
COVID-19
코비드 19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
Language
Korean
ISSN
1738-1592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2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 보았을 때,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가치관 또한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됨이 보고되었다. 최근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과 관련된 연구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셀프리더십, 직업가치관, 간호전문직관 등의 관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걸 보면 직업가치관, 셀프리더십은 높은 확률로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 셀프리더십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코로나19 관련 특성을 파악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코로나19 팬데믹 경험에 따른 직업가치관, 셀프리더십,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확인하여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 확립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 디지털기기 사용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셀프리더십은 전공만족도, 디지털 기기 사용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진로정체감은 간호지원동기, 졸업 후 희망근무지, 전공만족도, 학과 생활 중 어려운 점,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 정도는 직업가치관,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셀프리더십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업가치관과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은 것으로 볼 때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셀프리더십을 증가시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의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에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분석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aimed at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areer values and self-leadership on career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3rd and 4th-year nursing students in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s in Rural & Fishing Village areas. A total of 22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mploy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ed that nursing students' career value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major satisfaction and the extent of digital device usage. Self-leadership also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extent of digital device usage. Additionally, career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factors such as nursing motivation, post-graduation desired workplace, major satisfaction,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department life, and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The degree of career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values and self-leadership. In conclusion, developing strategies to enhance career values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s important, as higher levels of these variables correspond to a stronger sense of career identity.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focusing on 3rd and 4th-year nursing students in Rural & Fishing Village areas, may need to be revised whe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Hence, it is recommended for future studies to expand the analysis by including students from all academic year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