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ler 이론 기반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dlerian Theory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청소년학연구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Nov 30, 2019 26(11):303
Subject
청소년
아들러
Adler 이론 기반 프로그램
메타분석
adolescents
Adler
Adlerian theory based program
meta-analysis
Language
Korean
ISSN
1229-6988
Abstract
본 연구는 Adler 이론 기반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41편을 선정하여 9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했다. 그 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955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중재변인별 분석에서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했을 때, 비학급 단위로 프로그램을 운영했을 때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총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회기 당 진행시간, 경험보고서, 타인 격려와 같은 중재변인의 평균효과크기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에서는 진로관련 변인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dler 이론 기반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dlerian theory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purpose, 41 studies published from 2003 to 2018 were selected and 9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955, indicating large effect size. The analysis according to various moderators showed that programs including preliminary program implementation and non-class unit were more effective for both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 group. However, the mean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group size, a total number of group sessions, a number of sessions per week, session duration, the use of reflection paper concerning group experience and the activity of encouraging other group members revealed differing results for the elementary versu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Among the dependent variable domains of programs, career-related variables were most eff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dlerian theory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were discuss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