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명세자의 관례 절차와 참례자들에 관한 연구 ― 『왕세자관례등록』과 ≪수교도≫의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ocedures and Participants of Crown Prince Hyomyeong’s Gwallye (Coming of Age Ceremon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Wangseja Gwallye Deung-lok』 and ≪Su-gyodo≫ ―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동방학. Aug 30, 2023 49:151
Subject
효명세자
동궁
왕세자관례등록
수교도
Prince Hyomyeong
Crown Prince’s Palace
Wangseja Gwallye Deung-lok
Su-gyodo
Language
Korean
ISSN
1598-1452
Abstract
효명세자는 숙종 이후 약 150년 만에 태어난 왕비 소생의 적장자로 효명세자의 통과의례에 대한 기록은 『등록』, 『의궤』, 궁중 기록화로 전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효명세자의 여러 통과의례 중 관례에 대하여 기록인 『왕세자관례등록』(K2-2686)과 그림 자료인 ≪수교도≫를 비교하여 관례 참례자들을 분석하였다. 관례절차는 고종묘→명빈찬→관례→회빈찬→조알례의 순서로 치러졌으며 ≪수교도≫에는 1폭 명빈찬, 2~11폭 관례, 12폭, 조알례, 13폭 회빈찬 순으로 되어 있다. 이 중 관례 의례의 주요 절차인 ‘관례’는 동궁인 경현당에서 이루어졌다. 10폭의 그림에 등장하는 참례자들의 인원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외문을 통해 효명세자에게 배례를 하기 위해 들어온 후 각 장면마다 대부분 같은 인원으로 그려져 있었으나 2품 이상의 관원이 배례를 하는 장면에만 있고 이후 장면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아 공간의 부족으로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3품 이하의 관원들은 장면마다 인원이 다르게 그려져 있었다. 이는 실제 의례 진행 과정에서 담당 업무로 인해 자리에서 나온 것을 표현한 것인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관례절차에 따라 익위사 관원들의 인원 변화가 정확하게 그려져 있는 것으로 봤을 때 대체로 실제 참례자들의 인원 변화를 그림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인원수 분석을 바탕으로 주요 참례자들의 직책과 의물을 7폭인 <수교도>와 9폭인 <삼가도>에 표기하였다.
The Joseon dynasty did not have a legitimate heir after King Sukjong, until after 150 years Prince Hyomyeong, the eldest son of Queen Sunwon was born. The ceremonies of his rite of passage were carried out as official ceremonies of the royal family, which documents, the eui-gwe(Ritual Protocol Manuals), and court paintings remain today. This study analyzes the participants of the Gwallye(the coming of age ceremon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Wangseja Gwallye Deung-lok (Documents on Coming of Ag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K2-2686) and the ≪Su-gyodo≫, a pictorial documentation of the procedure of the ceremony. The ceremony took place in the order of Gojong-myo → Myeong-bin-chan → Gwallye → Hwe-bin-chan → Jo-al- lye. The ≪Su-gyodo≫ shows the ceremony in the order of Myeong-bin-chan on the first panel, the Gwallye on panels 2 to 11, Jo-al-lye on panel 12, and Hwe-bin-chan on panel 13. The Gwallye is the main procedure that took place in Kyeong-hyun-dang, the Prince’s residing palac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ach procedure, depicted in 10 of the panels. The participants enter through the outer gate to bow and pay respects to the Prince. Most of the panels show a similar number of participants, but the image in which the participants bow to the Prince shows only officials of ie-pum (second class) or higher, and is not depicted in the following panels, most likely due to the lack of space. The number of officials of sam-pum(third class) or lower differs in every scene, but it is not known whether they have left the scene due to their duties, as there is no recor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ik-wi-sa officials is accurately drawn following the Gwallye procedure, it seems th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actual participants is reflected in the draw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titles of the main participants and ritual symbolic items were marked on the 7th panel < Su-gyo > and the 9th panel < Samgado >.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