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Consideration on the Criteria of Course Completion of the Oversea Countries Apply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육과정연구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Sep 30, 2020 38(3):103
Subject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rse completion criteria
non-completion
credit recovery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
미이수
재이수
Language
Korean
ISSN
1229-3202
Abstract
교육부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실행을 위하여 2022학년부터 고교학점제 도입과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초반에 학생의 선택권 확대 및 다양한 과목 개설을 중심으로 논의되다가 점차 학점 취득 및 교과 이수 기준의 설정, 졸업 제도 관련 논의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고교학점제는 교육과정 선택, 이수 및 평가 기준 설정, 졸업 제도 마련을 주요 실행 요건으로 삼고있다. 이 가운데 해당 과목에서 어느 정도 또는 어느 수준의 학습 성취를 보였을 때 그 과목을 이수한 결과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한 교과 이수 조건 설정은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선결 조건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의 고교학점제 시행에 앞서 오랜 기간 고등학교에서 학점제를 운영해 오고 있는 국외 사례를 살펴 교과 이수 기준 설정과 구체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 캐나다, 호주 3개 국가를 대상으로 문헌을 조사하고 주 교육부나 학교 방문을 통해 실제적인 운영 사례를 탐색하였다. 3개 국가를 중심으로 국가 차원, 주 차원, 학교 차원 등 다양한 수준에서의 교과 이수 기준 관련 제도와 운영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 성취 백분율 등 절대평가를 위한 기준 제시 및 국가 수준에서의 교과 이수기준 제시, 둘째, 미이수 예방 방안 및 학생의 최소 성취 보장 방안 마련, 셋째,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출석을 고려한 이수 기준 설정, 넷째, 미이수에 따른 다양한 학점 재취득 기회 보장 방안 마련 등이 우리나라 고교 학점제 실행에 시사하는 바가 큼을 확인하였다.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ado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from the 2022 school year for the purpose of student course choice and the customized curriculum, and accordingly launched the revision of the related curriculum. The initial discussions about the HSCS primarily focused on the supply of many courses and are being gradually expanded to credit acquisition,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gradu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HSCS definition, it is most important to set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for how credits are awarded to students who have shown how much and what level of achievement as a result of completing the subject. Therefore, to prepare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determine implications prior to the HSCS implementation, this paper examines countries like the U.S., Canada, and Australia, where the author visited the state ministry of education or high school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HSCS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the current course completion and evaluation system, involved with establishing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ed systems of these countrie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standards for course completion at various levels, such as the national, state, regional, and school levels, th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HSCS in Korea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using the percentag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course completion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to prevent non-completion and to ensure the minimum achievement of students; third, to set the completion standards considering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attendance; fourth, to prepare a plan to guarantee various opportunities for recovering credits due to non-comple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