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난관임신에서 치료방법에 따른 β-hCG의 수치변화의 비교
The comparison of β-hCG Levels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in tubal pregnanc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Jun 25, 2008 19(2):150
Subject
난관임신
MTX 요법
난관절제술
혈청 β -hCG 수치
Tubal pregnancy
MTX method
Salpingectomy
Serum β -hCG Level
Language
Korean
ISSN
2508-4887
Abstract
목적: 난관임신의 치료에서 MTX 치료와 난관절제술에서의 혈청 β-hCG수치의 변화를 비교하여 MTX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 MTX 치료의 실패군과 성공군의 차이를 확인하여 MTX 치료의 선택기준의 결정에 도움이 되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난관임신으로 진단받은 후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118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총 118명의 환자 중 52명에서는 MTX요법을 시행하였고 66명은 나팔관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MTX요법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33명은 MTX 요법만으로 치료가 종결 되었으나 19명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였다. MTX 요법의 성공군과 실패군에서 임신 일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음파상 나팔관임신 부위의 혈종 크기와 혈복강의 양, 혈청 β-hCG 수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MTX 요법은 나팔관 절제술에 비해 치료 후 혈청 β-hCG의 감소의 비율이 적고 치료 초기에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치료 후 7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치료 후 28일에는 나팔관절제술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MTX 요법에서 치료 초기(~3일)의 혈청 β-hCG 변동 비율은 치료 실패 여부와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나팔관임신 부위의 크기와 혈복강의 양 및 치료 전의(초기) 혈청 β-hCG수치는 MTX 치료의 성공 여부에 중요한 인자이다. 혈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나팔관임신의 환자에서 특히 나팔관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에 MTX 치료를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ethotrexate (MTX) method by comparing the change of the serum β-hCG level between the MTX method and salpingectomy for treating tubal pregnancy, furthermore by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the MTX success group and the failure group, and to provide helps in establishing criteria for choosing the MTX method. Methods: Medical records of the 11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ubal pregnanc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period of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Results: Between the MTX success group and the failure group,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gnancy dura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ize of hematoma and the quantity of hemoperitoneum at the site of tubal pregnancy in ultrasonography and in the serum β-hCG level (p<0.05). Compared with salpingectomy, the MTX method showed the patterns of a low decrease rate of serum β-hCG level after treatment and even its increas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reatment, but the serum β-hCG level decreased rapidly from Day 7 after treatment and became equal to that of salpingectomy on Day 28 after treatment. Conclusion: The size of hematoma and the quantity of hemoperitoneum at the site of tubal pregnancy and the serum β-hCG level before treatment ar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in the MTX method. The MTX method may be safe and effective relatively in hemodynamically stable tubal pregnancy patients, who need preserve the salpinx particularl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