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전통주머니의 비교와 발전 연구
Comparison and Development Research of Traditional Purse in Korea and Chin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디자인포럼 /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Feb 25, 2024 82:27
Subject
전통 주머니
동양 문화
리디자인
Traditional Pocket
Oriental culture
Redesign
Language
Korean
ISSN
2233-9205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이 동양 문화의 중심으로서 수천 년간 각기 독특한 전통 문화를 형성해 온 배경에 주목하였다. 특히, 한·중 양국의 전통 복장과 장신구 중에서 전통 주머니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주머니들은 복장에 주머니가 없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하였으며, 깊은 역사와 상징적, 미학적 가치를 지닌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검토, 비교 분석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전통 주머니의 발전과 역사적 변화를 조사하고, 실제 용도와 상징성을 통해 양국의 문화적 차이를 규명했다. 이 과정에서 전통 주머니의 역사적 및 문화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전통주머니가 현대 디자인과 기술에 의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현대 패션과 디자인에서 전통 요소의 재해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통 주머니는 형태와 스타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미적,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단순한 장식을 넘어 기능적, 실용적 가치도 갖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 주머니가 현대적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전통과 현대 생활 방식을 결합한 리디자인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결론 전통 주머니는 기술 손실이나 유행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대 생활에 적응하며 계속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현대의 핸드백, 배낭, 다용도 가방 등에 통합되어 나타나며, 이는 전통과 현대 사이의 연속성을 보여주고, 문화적 가치와 다용도 기능성을 함께 향상시키고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s formed over thousands of years by Korea and China, central to Eastern culture. Particularly, traditional clothing and accessories, including traditional pouches, represent a significant part of their historical heritage. These pouch, which was born from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pocketless clothing, has deep historical, symbolic, and aesthetic valu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raditional pouches through literature review, comparative analysis, and case studies, identify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usage and symbolism. It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se pouche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ir transformation in modern society through contemporary design and technology, exploring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in modern fashion and design. Result T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pouches, despite varying forms and styles, possess unique aesthetic and cultural symbolism, offering more than mere decoration by combining functional and practical valu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y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with designers exploring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into modern lifestyles. Conclusion The study concludes that traditional pouches, enduring craftsmanship loss and fashion shifts, continue evolving and adapting to modern lifestyles. Their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modern handbags, backpacks, and multi-purpose bags, exemplifying continu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enhancing multi-purpose functionality while preserving cultural value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