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감숙성 복희·여와 도상의 고고학적 특징과 유행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Fuxi Nuwa’s Images in Gansu Province, Chin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ec 30, 2021 12(6):819
Subject
Gansu Province
Fuxi
Nuwa
Images
Spread of Culture
감숙성
복희
여와
도상
문화 전파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951-049X
Abstract
이 연구는 중국 감숙성 지역에서 발굴된 복희·여와(伏羲·女媧) 도상을 대상으로, 유형학과 도상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도상의 유형, 구도, 기능 등을 파악하고, 문화 전파의 관점으로 도상의 특징과 유행을 통하여 지역적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결과, 도상은 화상벽돌, 관판화, 석굴암 벽화, 사찰 조상을 위주로 나타났으며, 한나라 중원 지역의 기본적 특징을 계승하고, 관발과 복식, 몸, 의복 등은 시대나 지역적 특징을 융합하여 차별화된 스타일을 형성하고 3형 3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서쪽으로 전파되어 신강성의 도상 스타일에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중국의 신화와 믿음 체계 등을 이해하고 문화 전파에 따른 도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the Fuxi Nuwa’s images found in Gansu Province, China, and analyze the image type, composition factors, and regional differences of Gansu Fuxi Nuwa by using archaeological type learning and image learning method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Gansu Fuxi Nuwa’s images were studied due to the cultural spread. In conclusion, the Fuxi Nuwa’s images in Gansu are mainly portraited brick, coffin plate painting, grottoes murals, and temple statues. The images inherited the Central Plains of the Han Dynasty’s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formed a unique regional aspect. Tube feet and dress and their ornaments, body, and clothes created a differentiated style by merging the aspects of the times and regions. And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three types. Furthermore, they were spread to the west, affecting the image style of Xinjiang. This study will promote an understanding of Chinese mythology and belief system and the change of images due to the spread of cultur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