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대표 여자 레슬링 경기력 저해요인과 극복전략 탐색
The Exploring factors of Coping Strategy and Obstruction Factors to Performance of National Women’s Wrestler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스포츠사이언스 / Sport Science. Dec 31, 2023 41(3):383
Subject
여자 레슬링 선수
경기력
저해요인
극복전략
National women’s wrestlers
Performance
Obstruction factors
Coping strategy
Language
Korean
ISSN
2093-3363
Abstract
이 연구는 국가대표 여자 레슬링선수의 경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인과 그에 따른 대응 극복전략을 분석하여 여자 레슬링선수들의 운동수행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국가대표팀 소속의 여자 레슬링선수 1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국가대표 여자 레슬링 선수의 6개 일반영역의 경기력 저해요인을 조사한 결과 생리적 컨디션, 심리기술 및 심리상태, 사회적지지, 승패부담, 경기상황, 환경 영역 순으로 경기력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대표 여자 레슬링선수의 경기력 저해요인에 대한 대응 극복전략을 조사한 결과 선수들은 심리기술 및 심리 상태 저해요인에 긍정적 사고 빈도(21)가 가장 높은 반면 대안적 행동이 가장 효과적인(3.4) 대응 극복전략으로 나타났다. 승패부담 저해요인에서는 대안적 행동 빈도(5)가 가장 높은 반면 선택적 집중이 가장 효과적(4)이며, 사회적지지 영역에서는 선택적 집중과 긍정적 사고 활용 빈도(3)가 가장 높은 반면 대안적 행동이 가장 효과적(3.5)인 극복전략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리적 컨디션 영역에서는 컨디션 조절이 가장 높은 빈도(6)와 효과(4)를 보였으며, 경기상황 영역에서는 대안적 행동이 가장 높은 빈도(13)와 높은 효과(3)를 환경 영역에서는 자기관리가 가장 높은 빈도(5)인 반면 지도자 신뢰가 가장 효과적인(3.5) 대응 극복전략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female wrestlers by analyzing the hindering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national female wrestlers and the corresponding overcom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ith 12 female wrestlers belonging to the national team in 2018 as the research subject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hinder the performance of national female wrestlers, it was found that six general areas affected the performance decline: physiological condition, psychological skills and psychological state, social support, burden of winning or losing, match situation, and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sponse and overcoming strategies of national female wrestlers to factors that impede their performance, the athlete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positive thinking (21) when it came to factors that hindered their psychological skills and psychological state, while alternative behavior(3.4) was the most effective response appeared as an overcoming strategy. In the factor hindering the burden of winning or losing, the frequency of alternative actions (5) is the highest, while selective focus (4)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area of social support, the frequency of selective focus and positive thinking (3) was the highest, while alternative actions(3.5) was the most effective an overcoming strategy. Additionally, in the physiological condition domain, conditioning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6) and effectiveness (4), in the game situation domain, alternative behavior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13) and effectiveness (3), and in the environmental domain, self-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13) and effectiveness (3). While it had the highest frequency (5), trust in the leader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3.5) coping strateg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