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워라밸(WLB)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전라북도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WLB)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Jeollabuk-do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자치행정학보 /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Sep 30, 2022 36(3):111
Subject
워라벨
교육행정직
조직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
Work-Life Balance
WLB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Language
Korean
ISSN
1738-7779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워라밸 조직문화와 개인 변수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전라북도교육청 5급 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2022년 4월 11일 - 4월 25일까지 7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율은 27%(189명)였으며, 총 1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독립변수로 조직문화, 일-생활 균형 성향, 조직-개인 적합도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라밸에 대한 조직의 의지와 동료의 의사소통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생활을 중시하는 성향과 자기계발을 중시하는 성향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몰입에는 자기계발을 중시하는 성향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워라밸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개인과 조직의 적합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직 구성원의 배치 등 인사행정의 적절성이 요구된다. 셋째, 워라밸에 대한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과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향후에도 지속적인 조직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and looking for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705 people from April 11 to April 25, 2022 through an online method targeting public officials of the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response rate was 27% (189 persons), and a total of 18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organizational culture, work-life balance tendency, and organization-personal fit,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ill of the organization for work-life balance and the communication of colleague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 value personal life and the tendency to emphasize self -develop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 emphasize self-develop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strengthen a work-life balance-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ppropriate plac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required in personnel administration. Third,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for work-life balance and policy development are needed. Fourth, continuou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hange are necessary in the futur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