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찰 역량’ 함양을 위한 글쓰기 교육 시론(試論) - 딜레마 서사의 활용 가능성 탐색 및 교육적 제언을 중심으로
Exploring Writing Education to Strengthen ‘Reflective Competency’ - Focusing on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Dilemma Narrative and Educational Suggestion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문과학 /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Dec 31, 2023 129:131
Subject
성찰
성찰적 글쓰기
딜레마 서사
역량
역량 중심 접근법
대학 글쓰기 교육
reflection
reflective writing
competency
competency-driven approach
dilemma narrativ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9-6201
Abstract
이 논문은 탈인간, 탈진실의 문화 현상을 배태한 포스트소셜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새롭게 정향하고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술의 혁신으로 급변하는 시대 사회적 흐름에 맞서 학습자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성찰 역량’이라고 보고, 성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글쓰기 교육에 관해 탐색해 보았다. 먼저 기존 성찰적 글쓰기 교육이 다종다앙하게 진행되며 교수학습법 연구를 풍성하게 남기고 있지만, 성찰의 개념이 다소 임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성찰의 개념을 실제 학습자·가 함앙해야 할 수행적 개념으로서 재개념화하고 이것이 교육의 영역에서 객관적으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 위해서 역량 중심 관점에서 이러한 성찰을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성찰을 교육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해서, 소설 속 딜레마적 서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성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그로부터 야 기되는 혼란스러움과 당혹감 등의 불편한 감정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 이 두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소설의 딜레마적 서사는 훌륭한 성찰의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는 딜레마적 서사가 잘 드러난「가만한 나날」(김세희),「알바생자르기」(장강명) 두 편의 작품을 통해 성찰을 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봄 으로써 달레마적 서사의 성찰 교육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 설을 읽고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마주한 주인공의 감정 추이를 따라가며 성찰을 훈련한 후, 그 내용을 종합하여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글을 쓰는 활동을 성찰 역량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최종적 지향점으로 보았다. 이에 글쓰기 교 육의 단계를 ‘딜레마적 서사 읽기나제 상황에 대한 질문 만들기一합리적 대 화하기一글쓰기’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성찰 의 수준을 내'&적 요소를 기준으로 나누어봄으로써 성찰적 글쓰기 평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goal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post-social era and to suggest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competencies that learners should have against the times and social trends as “reflection capabilities” and explored writing education to strengthen reflection capabilities. In order for this to be taught and evaluated obje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look at this reflection from a competency-centered perspective. In Chapter 3,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lemma narrative in the novel was examined to explore the content and methodology that can teach about reflection. In order for reflection to occur, uncomfortable feelings such as a dilemma problemsituation and confusion and the embarrassment caused by it must be the basis. The novel's dilemma narrative, which includes both of these elements, can be used as a textbook for excellent reflection. Finally, reflective thinking was organized, synthesized, and systematized, andwriting based on thiswas viewed as the final goal of writing education to cultivate reflection competency. Accordingly, there were four stages of writing education to foster reflection competency: “dilemma narrative reading-create a question about a problem-rational conversation-writing.” In addition, the level of reflectionwas classified and proposed based on content elements so that the writing could be evaluat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