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가치 특성과 학습동기의 관계
Relations between Values and Academic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초등교육연구 /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May 31, 2018 31(2):1
Subject
가치
학습동기
자기초월
Schwartz의 가치이론
value
academic motivation
self-transcendence
Schwartz’s value theory
Language
Korean
ISSN
1229-3938
Abstract
본 연구는 Schwartz의 가치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가치와 주요 학습동기 변인과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서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관련된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기술통계 및 상관, 중다회귀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초월’ 가치차원에 포함된 박애 가치는 적응적인 학습동기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권력 및 성취 가치를 포함하는 ‘자기고양’ 가치차원은 부적응적 학습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권력과 안전 가치는 시험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창의형 학습흥미와 가장 높은 관련성을 갖는 가치는 보편주의 가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지닌 가치가 아동의 학업성취로 이어지는 학습동기와 관련되며, 특히 자기초월 가치차원에 포함된 박애와 보편주의 가치가 초등학생의 학업 및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basic values and their academic motivation drawing on Schwartz's value the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298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sampl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nd the survey data from thos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enevolence’ value under the ‘self-transcendence’ value dimens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adaptive academic motivation. Second, the ‘self-enhancement’ value dimension, which included the ‘power’ and ‘achievement’ values, positively predicted maladaptive academic motivation. Third, the ‘security’ and ‘power’ values related positively to test anxiety. Fourth, the ‘universalism’ valu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creative intere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s values would be associated with their achievement-related academic motivation and that the self-transcendence value dimension involving the benevolence and universalism values made a strong contribu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academic lif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