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장보관(章甫冠)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Jangbogwan from the Joseon Dynast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Jan 01, 2023 30:1
Subject
남자 관모
장보관
직물보존
세척
원형복원
Men’s official headgear
jangbogwan
fabric preservation
washing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9-5191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포제 관모인 세마관의 보존처리 기록과 손상된 문화재의 원형 회복에 따른 기존 명칭 재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포제 관모는 홑으로 된 내관에 양이 있고 내관을 감싸는 홑으로 된 외관, 머리둘레를 두르는 겹으로 된 무가 내관과 외관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소색 마직물로 만든 조선시대 남자용 관모로 표면에 오염과 이물질 제거, 부분적으로 열화되어 손상된 직물의 수리를 통한 원형 회복과 안정화 및 전시 활용을 위해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포제 관모의 바느질 방법은 손바느질과 재봉틀 바느질이 혼합되어 있다. 전체 구성과 양식은 조선시대 동일 유형의 관모와 유사하지만 재봉틀 바느질이 사용되었으므로 제작 시기는 1900년대 초반으로 보았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포제 관모의 전체적인 구성과 형태에 대해 유생들이 평상복을 입을 때 착용하는 남자 관모의 하나인 장보관과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문헌의 기록과 도설, 선행연구, 조선시대 초상화에 보이는 장보관의 형태 비교, 현전 실물들과의 특징 비교를 통해 대상품인 포제 관모가 장보관으로 분류되어 명명되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ocument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fine-hemp official headgear hou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o reconsider its existing name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damaged cultural heritage asset. The headgear consists of a single inner frame with a vertical line at the front, a single outer frame surrounding the inner frame, and a double-layered headband that spans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head and joins the inner and the outer frames. This study applied a conservation treatment to the men’s undyed hemp headgear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repair the partially deteriorated and damaged fabric, thereby restoring and stabilizing the original shape and preparing it for exhibitions. The hemp headgear was sewed both by hand and with a sewing machine. Although its overall composition and style are similar to the same type of official headgear from the Joseon Dynasty, the use of a sewing machine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it was produced in the early 1900s. This study identified similarities between the overall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fully-preserved hemp official headgear and those of the jangbogwan , a type of men's official headgear worn by Confucian scholars as part of their everyday attire, and compared it with the shape of jangbogwan seen in documentary records, illustrations, prior research, and portraits from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xtant jangbowan artifacts, eventually concluding that it is appropriate to classify and name the headgear as a jangbogwan .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