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경종 柳慶宗 1565-1623 묘 출토복식 고찰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yu gyeongjong (1565-1623)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Oct 30, 2014 15:38
Subject
출토복식
보존처리
단령
직령
창의
흉배
연금사
Excavated Costumes
Conservation
Dallyeong
Jingnyeong
Changui
Hyungbae
Yeongeumsa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9-5191
Abstract
본 유물은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진주 유씨 유경종 柳慶宗, 1565-1623 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3점이다. 이미 1차 보존처리가 완료되었으나 일부분에 대한 재처리가 필요하였고 의복의 형태 복원 및 유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재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재보존처리가 완료된 복식 3점은 형태 복원을 통해 의복의 특징에 따라 단령 團領, 직령 直領, 창의 氅衣로 명칭을 정정하였다. 직물의 무늬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운문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새로운 패턴이 확인되었으며, 단령에 부착된 흉배 胸背는 무늬 부분이 아닌 바탕 부분이 연금사 撚金絲로 직성 織成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유물은 보존처리를 통해 원형을 회복하고 의복의 형태에 맞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16세기 후기에서 17세기 전기 직물의 무늬 및 의복의 형태의 유행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ree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yu gyeongjong 1565-1623, which are now own at Buyeo National Museum,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As a result of this treatment, the costume types were correctly identified and their original forms were restored. Through the restoration process, various key features were discovered, enabling the costume types to be correctly identified as a dallyeong official’s uniform with roundcollar, jingnyeong coat with straight collar, and changui coat with slits in the rear and sides. One of the newly discovered key features was a new variety of pattern that differed from the prevalent cloud pattern of the time. Also, on the dallyeong, it was found that the ground of the hyungbae rank badge, was made from yeongeumsa wrapped gold thread. These costumes are significant artifacts showing trends, patterns, forms, and other key characteristics of clothing from the late sixteenth to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