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삼동패총 출토 그물무늬토기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Net Pattern Pottery from Dongsam-dong Shell Midde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고고학지 / Kogohakchi. Dec 20, 2014 20:147
Subject
동삼동패총
그물무늬토기
봉계리식토기
합사
그물추
그물어법
Dongsam-dong Shell Midden
Net Pattern pottery
Bonggye-ri style pottery
Twisted yarn
Net sinkers
Net fishing
Language
ISSN
1229-6643
Abstract
동삼동패총에서 출토된 그물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의 그물이 토기 겉면에 찍혀 있는 유일한 것으로 당시의 그물의 실체와 방적 기술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본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신석기시대 그물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자료의 출토 현황 및 3D 현미경 관찰 결과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 글을 작성하였다. 우선 그동안 일부에서 동삼동패총 하층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고 신석기시대 전기의 유물로 평가되었던 본 자료가 실제로는 이중구연토기를 대표로 하는 문화층에서 출토된 유물임을 밝혔다. 이와 함께 능형집선문 혹은 조우문과 유사한 사격자문, 동체 상부에만 시문된 무늬, 장석이 혼입된 태토 등을 근거로 본 자료가 봉계리식토기 단계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시하였다. 본 자료에 찍힌 그물감을 3D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물감은 단사 2올 이상을 꼬아서 만든 합사임이 확인되었다. 이 실 꼬임의 각도는 평균 38°로, 현재 기술로 이 정도의 꼬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합사가 적절하지만 당시 가락바퀴로 단사 3올을 동시에 꼬기에는 어렵다는 점에서 단사 2올을 강하게 꼬아서 만든 2합사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물감의 원료는 강도가 크고 내수성이 좋은 대마로 추정하였다. 동삼동패총을 비롯해 동남해안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그물추가 거의 출토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에서는 그물추가 없는 형태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와 함께 그물과 그물추의 존재가 곧 그물어법의 존재라는 단순한 구도에서 벗어나 선사시대의 그물 사용례를 들어 그물이 단순히 고기잡이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냥과 운송 등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였다.
The net pattern pottery from Dongsam-dong shell midden represents the only example of pottery decorated with the imprint of a Neolithic net. This paper aims to compile basic information on net pattern pottery, by identifying the context of its discovery and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3D microscope analysis. First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is type of pottery, which had been seen to have come from the lowest layer of Dongsam-dong shell midden and was therefor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Early Neolithic culture, in fact came from the cultural layer represented by double-rimmed pottery(二重口緣土器). In addition, given the presence of rhombus-shaped motifs(斜格子門), the way in which patterns were used to decorate only the upper part of the vessel body, and the use of base clay with feldspar inclusions, it is tentatively suggested that net pattern pottery may in fact belong to the cultural phase represented by Bonggye-ri style pottery. By observing the net imprints on the pottery surface using a 3D microscop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net was made using cord which consisted of more than two same types of single yarn. These yarns had been twisted together at an angle of 38°; in modern spinning technology, three is believed to be the appropriate number of yarns needed to maintain this angle but given that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twist together three yarns using the spindle whorl available at the time, it is likely that the cord was made by tightly twisting only two yarns. It is inferred that the material used to make the yarns would have been hemp yarns, which was strong and water resistant. The Neolithic sites of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including Dongsam-dong Shell Midden, have rarely yielded net sinkers. Based on this fact, theref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fishing nets in this region were used without sinkers. In addition, nets would not have been limited to this function alone; nets would have also been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 hunting 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