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일 - 가정 갈등 유형과 이직의도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Type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분쟁해결연구 /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Dec 30, 2021 19(3):25
Subject
일 - 가정 갈등
이직의도
잠재집단분석
보육교사
Work-Family Conflict
Turnover Intention
Latent Class Analysis
Childcare Teacher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738-365X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유발요인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을 규명하고, 잠재집단 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잠재집단 분석을 통해 일-가정 갈등을 유형화하고, 이들 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잠재집단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유형은 행동 기반 갈등 저(低)집단, 일-가정 갈등 저(低)집단, 일-가정 갈등 중(中)집단, 일-가정 갈등 고(高)집단, 행동 기반 갈등 중(中)집단 등 5개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잠재집단 유형은 일-가정 갈등 유발요인의 내용과 정도에 따라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가정 갈등 저(低)집단에 속한 보육교사에 비해 일-가정 갈등 중(中)집단, 일-가정 갈등 고(高)집단, 행동 기반 갈등 중(中)집단에 포함된 보육교사일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효과적인 일-가정 갈등관리 및 이직관리를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childcare teachers’work-family conflict typ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typ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child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We analysed the data with Latent Class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five distinct work-family conflict types: ‘Low behavior-based conflict type’, ‘Low work-family conflict type’, ‘Middle work-family conflict type’, ‘High work-family conflict type’, and ‘Middle behaviorbased conflict typ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 of work-family conflict differs according to the source and degree of the conflict.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nalysed the effects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typ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to the ‘Middle-WFC group’, ‘High-WFC group’, and ‘Middle behavior-based conflict group’ha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an ones belong into ‘Low-WFC group’.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 on the result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