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청소년학연구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Apr 30, 2024 31(4):475
Subject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지지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ie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ocial Support
Language
Korean
ISSN
1229-6988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기불일치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불일치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과 비교했을 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사회 불안에 대한 개입으로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줄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s of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self-discrepancies on social anxiety. This means that self-discrepancies directly affected social anxiety and also affected social anxiet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self-discrepancies on social anxiet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is means tha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has a smaller impact on social anxiety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elf-inconsiste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interventions in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and interventions to reduce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crease social support should be mad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