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중 소비자 디자인 인식 비교연구 -폴더블 타입의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Design Preference in Korea and China Using Big Data Text Mining -focus on the foldable type of smartphone-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기초조형학연구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Jun 30, 2023 24(3):119
Subject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폴더블폰
소비자 인식
제품디자인
social media
big data
foldable phones
consumer awareness
product design
Language
Korean
ISSN
1598-8635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중요 기술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딥러닝 등이 적용된 산업디자인 제품 중에서 가장 혁신적인 스마트폰은 폴더블폰이라고 할 수 있다. 폴더블폰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다. 그렇기에 제품 상업화 초기 시점에서의 폴더블폰 수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작성한 게시물 등을 통해 폴더블폰에 대한 한중 소비자 디자인 인식을 파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2022년에 한국과 중국에서 발매된 폴더블폰에 대한 인터넷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톰을 사용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폴더블폰에 대한 소비자 인식 데이터를 추출하하는 걸 택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넷드로를 사용하여 시각화하는 방법을 통해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 소비자 사이의 인식 차이 를 파악하고, 디자인 부분이 소비자 인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하기 위해 UCINET 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CONCOR 분석을 진행하였다. 군집화 분석에서는 에서는 ‘브랜드적 인식’, ‘디자인적 인식’, ‘기술적 인식’, ‘소비적 인식’이라는 4개 차원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한중 소비자의 폴더블폰 디자인 인식 차이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소비자는 브랜드 가치와 소비 경험에 중점을 두는 반면, 중국 소비자는 기술적인 방면과 디자인에 더 큰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이 폴더블폰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는 폴더블폰의 디자인 계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The most innovative smartphone among the industrial design products that incorporate crucial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considered the foldable phone. The foldable phone is rapidly growing in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yet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 related to this is lac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 perception of the adoption of foldable phones at the early stage of product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Korean and Chinese consumer perceptions of the design of foldable phones through posts written by consumer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llecting big data from internet social media platforms on foldable phones released in Korea and China in 2022, and choosing to extract consumer perception data on foldable phone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using Textom 2.0 Extracted keywords were used to conduct a network analysis, and consumer perceptions in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visualization using NetDraw. Additionall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design in consumer perception, a CONCOR analysis of the text was conducted using the UCINET 6 program. In the CONCOR analysis, four dimensions were created: ‘brand perception’, ‘design perception’, ‘technical perception’, ‘consumption perception’. Differences in design perceptions of foldable phones among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re identifi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ile Korean consumers focus on brand value and consumption experience, Chinese consumers show greater interest in the technical aspects and design. Through this study, the aspects tha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consider important about foldable phones were identified, and these results not only assist in the design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y for foldable phones but also provide insightful perspectives that can be utilized i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