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적 복잡성 연구고찰Ⅰ -문헌고찰을 통한 문제점 도출-
Research on the Visual Complexity Ⅰ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view-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기초조형학연구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Apr 30, 2018 19(2):343
Subject
시각적 복잡성
심리학
엔트로피
질서
visual complexity
psychology
entropy
order
Language
Korean
ISSN
1598-8635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미가 존재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며, 그 실마리를 시각적 복잡성에서 찾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디자이너가 시각적 복잡성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는 시각적 복잡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2장은 실험·형태·환경·예술심리학에서 복잡성과 관련된 이론을 정리하였다. 3장은 구성 원리와 평면, 입체(건축과 가로)의 복잡성 측정방법을 논문 중심으로 고찰하고, 질서와 시각적 복잡성의 상관관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중들이 시각적 복잡성의 중간단계를 선호하는 것과 향후 구성요소 선정 시 부분보다는 총체적으로 지각하는 요소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성·질서와 시각적 복잡성과의 관계 규명과 함께 구성요소의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새로운 연구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잡성에 대한 정의는 아직까지 합의가 없었다. 둘째, 복잡성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연구방법의 주류가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하는 계량적 방법이다. 넷째, 시각적 복잡성과 매우 긴밀한 관계인 질서에 대한 연구가 없다. 다섯째, 시각적 복잡성을 판단한 설문 참여자들이 하나의 자극에만 노출됐다. 본 연구의 주제는 국내·해외 모두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평면·입체를 통합하여 고찰한 연구도 거의 없다. 특히 국내 연구 자료는 매우 부족하여 후속연구자에게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common favorite among the general public. I look for the clues in the visual complex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at enable the designer to control the visual complexity.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on visual complexity distributed sporadically is reviewed and draw out the problems of advance research. First, the theory related to complexity is summarized in experiment, Gestalt, environment, and art psychology. Next,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measurement methods of visual complexity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public preferred the medium level of visual complexity and that when studying the components of the future, they need access to overall perceived elements rather than pa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new research method is required for studying the components together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order and visual complexity. The problems of the advance research through psychology and measurement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complexity is not complete. Seco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plexity itself. Third, the mainstream of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entropy. Fourth, there is no research on order,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visual complexity. Fifth, survey participants who judged visual complexity were exposed to only one stimulu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ack of related data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tegrated pattern and three-dimensional.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follow-up researchers in situations where domestic data on visual complexity is very scarc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