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리빙랩 전략방향 연구: 경남지역 리빙랩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Direction of the Living Lab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the Living Lab Project in Gyeongsangnam-do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Dec 31, 2022 11(4):465
Subject
리빙랩
공공주도 리빙랩 프로젝트
사회혁신형 생활실험 프로젝트
성과 평가
리빙랩 전략 방향
Living lab
Public-led living lab project
Social innovation living lab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Living lab strategic direction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287-4739
Abstract
리빙랩(Living Lab)은 도시 문제와 사회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양한 리빙랩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추진되었던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서 추진한 공공 기반의 10개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분석을 통해 현재 리빙랩 프로젝트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리빙랩 성과 지표틀의 투입-과정-산출-결과 지표 중 ‘시민 모집’과 ‘민산학연 주체자들의 구성’부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되었다. 또한 성과 지표 결과는 전반적으로 ‘과정’ 지표에 대한 평균값이 높은 편이었고, ‘산출’ 및 ‘결과’ 지표에 대한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전략 방향은 ‘제도적 측면’, ‘재정적 측면’, ‘콘텐츠적 측면’의 3가지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각 부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자체, 지역대학 연계형 거버넌스 및 협업 구조 또한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적 틀 및 유사 리빙랩 프로젝트 설계 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ving Lab’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social issues, and in particular, various Living Lab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Howev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ving Lab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Living Lab project was analyzed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10 public-based living lab projects promoted in the Gyeongnam region,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future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was set through expert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input-process-output-result indicators of the derived Living Lab performance index frame, the ‘Citizen Recruitment’ and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private industry, academic and research actors’ scores were the highes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ndex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process’ index was high overall, and the performance of the ‘output’and ‘outcome’ index was analyzed to be relatively low.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mmunity-based living lab strategy was presented in three directions: ‘institutional aspect’, ‘financial aspect’, and ‘content aspect’. Furthermore,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structures linked to local governments and local universities were also proposed to effectively carry out each sector. It is expected this study can be directly used when designing a structural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performance and similar living lab projects in the futur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