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텔구성원이 지각하는 직무불안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교환관계 질을 조절변수로-
Influence of Hotel Employee` Perceived Job Insecurity on Turnover Intention -Social Exchange Qua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여가관광연구 / Journal of Kyonggi Tourism Research. Jun 30, 2016 25:19
Subject
직무불안(Job Insecurity)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사회적 교환관계(Social Exchange)
Language
Korean
ISSN
2234-035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호텔구성원 들의 직무불안과 익직의도에 대한 집중적 검증을 위하여 인지적 직무불안, 정서적 직무불안의 두 가지 관점으로 일반화 하여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검증 하였다 또한 이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교환관계의 POS, LMX, TMX에 따라 조절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인지적 직무불안과 정서적 직무불안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들은 인지적, 정서적 직무불안이 느낄수록 이직 의도는 높아진다. 사회적 교환관계인 POS는 인지적, 정서적 직무불안과 이직의도 간의조절효과에 대해 기각되었으며 LMX, TMX는 조절효과를 나타내 채택되었다. 따라서 조직은 개인의 직무불안 문제를 단순한 차원이 아니라 조직적 차원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Also affecting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se in this study were verified to assist the separation of the two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ized anxiety cognitive affective job job insecurity, in order to verify the degree of focus on ikjik of hotel member job insecurity and the exchange relationship POS, evaluate the relationship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TMX, LMX,. Findings appeared to affect positively the cognitive task of separation anxiety and affective job insecurity and cognitive, affective job insecurit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members feel better. LMX, TMX was adopted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at POS is cognitive, affective job insecurity and turnover of dismissal was for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refore, you should consider the organizational dimension by dimension rather than a simple connection problem of job insecurity is a private organiza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