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열세 상황 인식에 대한 상황 적합성이 역전승에 미치는 영향: 한국프로농구 정규리그 실증분석
When Does Losing Lead to Winn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체육과학연구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Dec 31, 2023 34(4):618
Subject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Prospect theory
Expectation theory
Team performance
Korean Basketball League
회귀불연속설계
한국프로농구
전망이론
기대이론
경기성과
Language
Korean
ISSN
1598-2920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전망이론에 기반하여 근소하게 지고 있는 프로스포츠팀이 경기 중반 이후 이를 지각했을 때 이기고 있는 팀보다 승률이 높아지는 분절된 회귀선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기존의 Berger & Pope(2011)의 주장에 대한 상반된 실증결과에 대해 기대이론을 접목하여 이를 정교화하고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팀이 처한 상황과 시기에 따라서 분절된 회귀선의 유무나 종류가 달라질 것을 예상하였고, 언제 이러한 차이점이 발생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프로농구 리그의 17시즌(2006~2007 - 2022~2023) 4,531경기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R 4.3.1 패키지로 회귀불연속설계를 실시하였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분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상위권 팀(1·2위)/중하위권 팀(3~10위)과 시즌 초반(1~2라운드)/중후반 이후(3~6라운드)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한국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도 분절된 회귀선이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3쿼터 이후에 분절된 회귀선이 발견되었다. 둘째, 분절된 회귀선은 팀의 성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샘플로 사용된 프로농구팀 중, 중하위권 팀에게서 분절된 회귀 선이 나타났다. 셋째, 분절된 회귀선은 시즌이 진행된 시점(라운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팀을 대상으로 볼 때 3~6라운드에서 분절된 회귀선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팀 성적과 시점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본 결과 중하위권 팀의 3~6라운드에서만 분절된 회귀선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망이론과 기대이론의 조합이 경기의 중반 이후 나타나는 분절된 회귀선이 프로스포츠 종목과 각 팀의 상황에 따라서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이 지각하고 인식하는 상황 적합성의 기준에서 같은 점수 차이라도 승리할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실무적으로 의의를 지닌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ine and verify the argument by Berger & Pope (2011). Based on expectancy theory, we expected that the existence or type of regression discontinuity could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ime in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METHODS We conducted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using the R 4.3.1 package on the data of 4,531 games played during the 17 regular seasons (2006-2007 and 2022-2023) of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We divided the sample into top-tier teams (1st and 2nd place) and mid to lower-tier teams (3rd to 10th place). Furthermore, we segregated the sample into the early phase of the regular season (1st and 2nd round) and mid to final phase of the regular season (3rd to 6th round). RESULTS First, a discontinuity of the regression was found after the third quarter. Second, the regression discontinuity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level. More specifically, discontinuity effects did not appear among the top teams whereas the regression discontinuity effects were identified among mid to lower-tier team samples. Third, the regression discontinuity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point of the regular season (round). A discontinuity of regression line appears from the 3rd to 6th rounds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CONCLUSIONS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by systematically exploring that the probability of winning can vary even with the same scor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point and situations perceived by the player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