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서식 너도고하과 (Parabathynellidae)의 DNA 바코드 연구
A DNA Barcode Study on the Parabathynellidae from South Kore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Nov 03, 2015 2015(2):98
Subject
Language
Korean
ISSN
2005-8756
Abstract
고하목은 연갑강에 속하는 갑각류 목의 하나로 지하수의 간극에 서식한다. 지하수는 수계별로 구분되며, 과거 지질변동 이후에는 수계가 격리되어, 지역적 고유성이 매우 높아지표종으로 활용하기에 유용한 분류군이다. 고하목의 서식지는 지하수인데, 이들은 서식지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각변동 등 어떠한 요인으로 인한 수계의 혼합 또는단절이 일어났을 경우 형태적으로 수렴진화하거나 종분화과정 중에 있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complex종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적 식별이 어려운 종들에 대하여 유전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종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바로 잡아야 할 필요가 있다. 유전정보를 활용한 연구를하여, 형태적으로 혼란이 많은 종들의 위치를 바로잡는 동시에 새로운 종의 발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 13개 지역에서 채집한 한반도 서식 너도고하과 (Parabathynellidae) 20종에 대하여 74개의 염기서열을 획득하여 계통학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너도고하과에 속하는 종들은 속 수준으로 잘 나뉘어지는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까지 채집한 종들은 4개의속 (Allobathynella, Arisubathynella, Hangangbathynella, Eobathynella)에 속하는데 이들이 각기 다른 그룹으로 묶이는 것으로 보았을 때 너도고하과는 단계통으로 여겨진다. 또한 종간 변이의 최대값은 37.5 %로 이는 대전 서구 흑석동 Allobathynella와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의Eobathynella 와의 차이다. 또한 종간 변이의 평균값은 26.5%였다. 추후 더 다양한 채집지역과 다른 속들의 종이 포함된 이후 분석한다면 더욱 해상도 높은 연구가 될 것이라예상한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