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조림지의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 Time Elapse Among Thinned Forest Stand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Mar 31, 2019 108(1):127
Subject
coarse woody debris
forest management
small rodents
thinning
understory vegetation
Language
Korean
ISSN
2586-6613
Abstract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일대의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은 교목 수와 관목 수, 상층 피도, 중 층 피도, 암석 피도, 수목잔존물 수에서 임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형 설치류의 포획 결과,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4종이 포획되었으며, 대조구보다 간벌지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이 중 등줄쥐와 흰 넓적다리붉은쥐의 성비와 연령비를 분석한 결과, 두 종 모두 수컷의 비율은 간벌 3년차 임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성숙개체와 미성숙개체의 비율은 임분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의 간벌은 하층 식생의 발달과 수목잔존물의 증가로 소형 설치류에 더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벌 이후 수목잔존물의 존치와 중층 및 하층 식생의 유도를 통한 산림관리는 소형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 time elapse after thinning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Mt. Janggun, Gyeongbuk Province, South Korea.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number of tree, shrub stems, coverage of overstory, midstory, rock and number of coarse woody debris (CWD) between thinned and unthinned forest stands. We captured four small rodent species. Total number of captured small rodent were higher in thinned stands. Male-to-female ratio of Apodemus agrarius, and A. peninsulae were both the highest in forest stand 3 year after thinning. The differences in number of captured and sex ratio of small rodents might be related to habitat environment between thinned and unthinned stands. Thus, thinning can provide good habitat for small rodents by developing understory vegetation and increasing CWD in Japanese larch plant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st management through maintenance of CWD and induction of midstory and understory vegetation after thinning is necessary to maintain small rodents diversit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