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HP기법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InVEST 모형 서식지질 기준 설정
Establishing Habitat Quality Criteria for the Ecosystem Services InVEST Model Using AHP Techniqu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Feb 28, 2024 38(1):67
Subject
민감도
국립공원
자연공원
보호지역
SENSITIVITY
NATIONAL PARK
NATURAL PARK
PROTECTED AREA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9-3857
Abstract
생태계서비스란 자연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혜택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생태계서비스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InVEST는 대표적인 생태계서비스 모형이며 그 중 서식지질 평가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서식지질 평가를 위해서는 서식지질 초기값으로 위협인자에 대한 민감도 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는 국가 및 적용분야에 따라 판이하다. 그래서 그동안 진행된 국립공원 서식지질 평가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AHP)을 실시하여 서식지질 초기값인 민감도의 기준을 조정하였다. AHP실시 결과 자연초지, 경지정리가 안된 밭 등 10개 항목이 상향조정되었으며, 하천, 호소 등 8개 항목이 하향조정되어 총 18개 항목이 조정되었다. 조정된 민감도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형인 북한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 사적형인 경주국립공원, 해상해안형인 한려해상국립공원 그리고 산악형인 지리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지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립공원내 분포하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수역에 대한 부분이 서식지질 평가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기준을 이용하여 자연공원의 서식지질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The term ecosystem services refers to natural ecosystems' benefits to humans.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quantify ecosystem services. Habitat quality assessment is a widely used leading InVEST ecosystem service model. In Korea, habitat quality assessment is conducted for national parks. For habitat quality assessment, the initial value of habitat quality must be used to assess the sensitivity to threats,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application field. Therefore, an expert survey (AHP) was conducted based on previous habitat quality assessments in national parks to adjust the sensitivity, the initial value for the habit quality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AHP, 18 items were adjusted, including 10 items, such as natural grassland and unarranged fields, upward and 8 items, such as rivers and ponds, downward. Based on the adjusted sensitivity results, the habitat quality of Bukhansan National Park and Gyeryongsan National Park (urban type), Gyeongju National Park (historic typ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cean type), and Jirisan National Park and Seoraksan National Park (mountain type) were adjus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abitat quality of urban dry areas and water bodies distributed in the national parks was reflected in the habitat quality assess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habitat quality of natural parks using this standar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