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GIS를 활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 질 평가 -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Habitat Quality Evaluation of InVEST Model Using QGIS: For National Park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Oct 16, 2020 2020(1):41
Subject
Language
Korean
ISSN
2005-8756
Abstract
생태계서비스란 생태계가 기능함에 따라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얻는 편입을 말한다(Fisher and Turner, 2008). 생태계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온전히 보전됨이 전제되어야 한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물다양성법)을 제정하고, 법에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혜택을 공급서비스, 환경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그리고 지지서비스로 제시하고 있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서식지내 보전방식으로 보호지역이 지정 및 관리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태적,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법 중 하나가 생태계서비스 평가이다. 생태계서비스의 평가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를 바탕으로 정책에 활용을 한다. 국내에서는 국립생태원(2017)이 국가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지표를 선정 및 평가하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4)에서는 하천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정량화를 위한 통합 측정채계 구축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2019)에서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를 연차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다. InVEST(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는 미국 Stanford대학을 중심으로 Natue Conservancy와 World Wildlife Fund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자연으로부터 얻는 재화와 서비스를 지도화하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픈소스를 이용해 만든 모델이다(naturalcapitalproject.stanford.edu/). 2008년부터 개발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탄소저장량, 작물수분, 서식지 질 등 19개항목의 세부모델이 개발되었다. 각 모형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관련 인자를 투입하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harp et al., 2014).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한 결과 지지서비스의 일차생산과 서식지 기여도가 국립공원의 모든 유형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다(국립공원연구원, 2019). 이는 국립공원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보호지역이며 생물다양성보전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는 토지피폭도가 표준화 되어 있어 이를 모델에 적용할 경우 보편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다만, 서식지 질 평가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로서 위협요인과 민감도 계수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맞게 개발된 InVEST 모델중 서식질 질평가 모형을 적용하였다. 평가 인자 중 국립공원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협요인과 민감도 인자 및 계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VEST 모델중 서식지 질 평가를 위해서는 위협인자와 위협인자별 특성을 고려하여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여야 한다. 아울러 위협에 대한 민감도를 계수화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분석하여 민감도 계수를 조정하였다. 조정된 계수는 서식지질 스펙트럼으로 시각화하고 항목별 민감도를 상대비교하는 방식으로 계수를 조정하였다. InVEST 모델에 투입되는 토지피복도는 전처리를 통해 주요 국립공원별로 마련하고 국립공원의 특성에 맞게 공원구역과 주변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InVEST분석은 단순 대상지 분석을 목적으로 만들어 져서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기에는 불편한 부분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QGIS에서 InVEST 모델 구동이 가능하도록 모델을 개발하고 일괄분석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VEST모델중 서식지 질 분석을 설악산, 덕유산, 무등산, 변산반도국립공원의 4개 국립공원에 적용한 결과 용도지구별로 용도지구 지정 목적에 맞게 자연성이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토지피복 항목 중 암반 및 바위에 대한 평가를 개선한 결과 서식지 질에 대한 평가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VEST를 이용한 국립공원의 서식지 질 분석결과는 보호지역 이외의 개발지역 혹은 그에 준하는 지역과 비교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보호지역이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공공에 기여하는 부분을 밝힐 필요가 있다. 향후 분석은 전체 국립공원 및 보호지역 전반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