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면세균막관리와 구강보건교육에 관한 국내문헌고찰
Reviews of Literature on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Hygiene Education in Kore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Apr 30, 2017 17(2):87
Subject
Dental plaque
Oral health education
Oral hygiene instruction
Tooth brushing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598-4478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PMPR과 구강위생교습을 시행한 문헌 22편을 대상으로 아동과 성인의 구강위생관리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MPR을 하는 데 있어서 1∼2주 간격으로 4∼5번의 방문이 가장 효과적이고, 구두교육이나 모형교육보다는 치면착색제를 사용하고 OHE와 전문가 칫솔질, 치면세마, SRP 등을 병행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춰 반복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실제 임상적으로 치주와 부착수준의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특성에 맞는 규칙적인 프로그램과 정기적인 일정으로 반복적 PMPR이 필요하다. 분석에 포함된 PMPR, 칫솔질교습의 중재효과에 대하여 구강위생관리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OHE와 함께 시행되면 구강건강 증진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 최근 시행되는 성인대상 치석제거술의 건강보험 급여제도와 더불어 교육수행에 관련해서도 급여범위에 포함이 된다면 구강병 발생이 감소되고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되어 국민구강증진에 더욱 시너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속적으로 복지정책에 필요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행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OHE) or oral hygiene instruction (OHI) involving professional plaque control/removal, as compared to conventional plaque control/removal. By means of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 the review of literature by using systematic method, Korean articles of plaque control including OHE or OHI, were studied in order to analyze and conclude the literature to enhance oral health. We found that self and professional plaque control/removal, in addition to tooth brushing instructions, decreased incidence and prevalence of loss of teeth. Taken together, professional mechanical plaque removals were most effective 4∼5 visits every 1∼2 weeks. Use of disclosing agent was more effective than oral education or model education. In line with oral hygiene education, professional brushing, oral prophylaxis, scaling and root planing, it was advisable to repeat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Routine OHE or OHI would be help to increase to oral health. For a quality of life related oral heal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re needed to develop and its data should be applied to dental health insurance polic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