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에서 자궁내막증 발생과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및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과의 관계
Association of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and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 with Endometriosis in Korean Populatio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Jul 15, 2006 49(7):1471
Subject
자궁내막증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다형성
Endometiosis
PROGINS
Progesterone receptor
Estrogen receptor
Polymorphism
Language
Korean
ISSN
2287-8572
Abstract
목적: 자궁 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외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만성적인 골반통, 생리통, 성교통을 유발하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진행성 질환이다. 오랜 기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대하여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자궁내막증이 에스트로겐에 의존적인 질환이며 프로게스테론의 투여로 인하여 증상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 않다. 일부 유전적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자궁내막증과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특정 다형성 부위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PROGINS) 양상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및 XbaI 다형성 양상을 분석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수술 및 병리조직 소견을 통하여 자궁내막증을 확진받은 100명의 환자와 건강검진을 시행 받은 일반 인구군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말초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후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 검사를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에스트로겐 수용체-alpha 유전자의 다형성을 PvuII 및 XbaI 두 가지 제한효소를 이용한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한 후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에 있어서 특정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X2 검정을 통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PROGINS 다형성 양상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명에서만 T1/T2 이형접합자로 확인이 되었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모두 T1/T1 동형접합자임이 확인되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PvuI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에서 (pp)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는 32명 (32%)으로 대조군의 50명 (45.5%)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Pp)와 (PP) 유전자형의 빈도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109 (54.5%), 대조군에서 142 (64.5%)이었고 (P)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91 (45.5%), 대조군에서 78 (35.5%)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Xba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 있어서 (xx), (Xx), (XX) 유전자형의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x) 유전자와 (X) 유전자의 빈도에 있어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자궁내막증 환자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다형성이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자료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Endometriosis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us, causing diverse progressive diseases such as infertility,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Although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remain poorly understoo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endometriosis grows and regresses in an estrogen-dependent fashion and that administration of progestin can relieve the symptoms caused by endometriosis. Some genetic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strogen or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and the susceptibility to endometrio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he polymorphism of the progesterone receptor gene (PROGINS), PvuII and XbaI polymorphism of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with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00 women with surgically diagnosed and histologically confirmed endometriosis of stage III-IV were enrolled as a patient population and a total of 110 female control subjects undergoing health examination were enrolled as control population. Following isolation of genomic DNA from peripheral blood, polymerase chain reaction-sequence specific primer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PvuII and XbaI polymorphism. The X2-test was used to compare genotype distributions between endometriosis and controls. Results: Only one patient in each group was found to be T1/T2 heterozygote,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were all T1/T1 homozygotes. Analysis of PvuII has shown that the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patients had (pp) genotypes and (p) alleles in the endometriosi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2 (32%) vs. 50 (45.5%), P<0.05; 109 (54.5%) vs. 142 (64.5%),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otype distribution or allele frequency in XbaI polymorphism between the endometriosi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vuII polymorphism of the estrogen receptor-alpha gen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