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집단 문학치료 프로그램 기초연구
Basic Study on the Collective Literature Therapy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Growth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문학치료연구 / Journal of Literary Therapy. Apr 30, 2021 59:9
Subject
문학치료
문학치료 프로그램
외상 후 성장
부모사별
애도
사별수용
자기개방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요구분석
자기서사
작품서사
문학작품
<심청전>
Literary Therapy
Literary Therapy Program
Post-traumatic Growth
Parental Recognition
Mourning
Bereavement
Self-openness
Intentional Rumination
Social Support
Demand Analysis
Self-description
Work Narrative
Literary Work
Simcheongjeon
Language
Korean
ISSN
1738-3854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집단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겪는 실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지원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요구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정한 문학작품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요구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은 심리상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요구조사 참여자의 64.7%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기대하는 요소로는 ‘부모사별 경험에서의 정서적 고통감소’와 ‘부모사별 경험을 통한 삶의 의미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에,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외상적 경험을 직면하는 심리적 부담과 정서적 어려움을 재경험하는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심리적 성장에 이를 수 있도록 외상 후 성장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심리적 성장에 필요한 매개변인인 자기개방,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가 프로그램 내에서 어떤 과정으로 경험되는지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은 사회적 지지 속에서 자기개방을 통한 집단원들의 공감과 지지단계, 의도적 반추를 통한 충분한 애도와 사별 경험의 의미발견 단계,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 재구성 단계를 거치면서 심리적 성장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문학치료에서 문학작품은 참여자에게 다양한 영향을 주어 자기서사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므로 참여자들과 공통된 선동적 사건을 경험한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인 <심청전>을 선정하였다. <심청전>은 현대에도 그 외연이 계속 확장되고 있는 만큼 보편성을 확보한 작품이며, 심청은 어머니와의 사별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끌어나갔고,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죽음을 결심하며 또 한 번의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경험을 성장의 동력으로 삼은 인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문학작품 속 인물을 통해 자기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이 어떻게 경험될 것인지 살펴보기 위해 <심청전>의 서사를 부모사별을 경험한 심청 되기, 재편된 삶과 생존 부모와의 관계 재구성, 애도를 통한 사별수용 및 고인과의 관계 재경험, 심리적 성장과 자기실현, 이렇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청전>은 참여자들이 심청의 삶을 따라가는 과정을 통해 부모사별에 따른 애도를 경험하고, 생존부모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며, 자신의 삶의 경험을 재조명함으로써 재구성된 삶의 긍정적 의미들을 통해 외상 후 성장과정을 경험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치료 프로그램 기초연구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해보지 않았으므로 <심청전>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요구분석 결과 애도경험을 통한 심리적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확인하고, <심청전>이 프로그램에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작품임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basic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literature therapy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growth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The contents of a demand survey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were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and possibility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selected literary 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mand survey,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their parents are aware of their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demand survey showed that 64.7%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urthermore, the results that they expected most from the program were “reduction of emotional pain in” and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ach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 Therefore, a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post traumatic growth theory was planned to minimize the risk of experiencing trauma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to examine how self-openness, intentional refle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experienced during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refore, the program helped them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life. In literature therapy, literary works have various influences on participants, leading to changes in their own narrative. Therefore, “Simcheongjeon,” a work featuring figures who have experienced common incendiary events as those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imcheongjeon” is a work that has secured universality as its external relationship continues to expand in modern times, where Simcheong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following the death of his mother. However, she led her life independently and actively, and decided to die to open his father's eyes, but used her experience as a driving force for growth. In this study, the narrative of “Simcheongjeon”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to see how the participants would see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literary works: Being Simcheong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reorganizing life and relationship with the surviving parent, accepting bereavement by mourning, reexperiencing the deceased, and psychological growth and self-realization. In conclusion, “Simcheongjeon” is suitable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restructured positive meaning of life by experiencing parental mourning, resett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urviving parent, and re-examining their life experiences by following Simcheong's life. As this study was a basic study of literature therapy programs, it has not been verified for literature therapy programs using "Simcheongjeon."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is confirms that there is a demand for programs aimed at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mourning experienc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