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영재학교 국어과 창의·융합 독서 프로그램 사례 연구 -융합 시조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creative and convergent reading program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a science gifted school -Focusing on the activity of writing sijo-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청람어문교육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Mar 31, 2023 92:115
Subject
창의·융합 수업
융합적 글쓰기
독서교육
시조 쓰기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t Writing
Reading Education
Sijo Writing
Language
Korean
ISSN
1598-196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STEAM 교수·학습 준거를 기반으로 3단계 학습모형을 활용하여 창의·융합 독서프로그램 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였다. 대전 D과학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국어교사와 사서교사의 팀티칭 기반의 창의·융합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습 과정에 대한 설문과 감상평을 수집하여 융합 시조 쓰기 활동이 융합 및 창작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수업 효능감 검사의 창작능력과 융합선호도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과학과 수학을 주제로 한 융합 시조 쓰기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 인식의 질적 분석을 통해 융합의 인식 영역을 확장하고 지식과 삶을 통찰하는 차원에서 활동을 수행해 학생들의 쓰기 능력, 창의성, 문학 창작 능력의 향상을 이루었으며 다양한 영역에 융합을 활용할 수 있으리라는 태도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창의·융합 독서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인문학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를 융합할 수 있는 맞춤형 독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applied a creative and convergent reading program learning model based on the STEAM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of the Korea Science and Creativity Foundation, using a three-stage learning model. We collected survey and feedback data on the learning process to analyze the impact of fusion sijo writing activities on fusion and creative activitie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reative ability and fusion preference variables in the classroom efficacy test using topic modeling. Secon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er perception, we expanded the recognition of fusion in various areas and achieved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ability, creativity, and literary creativity. The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reading program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tailored reading education that combines students' humanistic and scientific thinking.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