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 사회에서 평화교육학의 새로운 가능성 탐구: 재현과 동일성 폭력의 비판과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Possibilities of Peace Pedagogy in a Migration Society - Focusing on criticism of representation and identity violence and the concept of mimesi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육철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Mar 31, 2024 46(1):191
Subject
비판적 평화교육학
평화교육
이주
재현
아도르노
미메시스
critical peace pedagogy
peace education
migration
representation
Adorno
Mimesis
Language
Korean
ISSN
1598-1568
Abstract
오늘날 전 지구적인 세계화와 맞물려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경계들이 서로 넘나들고 동시에 경계 짓기가 강화되고 있다. 글로벌 이주 시대 차별과 불평등을 줄이는데 평화교육학은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것인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이주 사회에서 평화교육학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새로운 해방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평화 논의를 사회비판으로 이해하고 있는 비판적 평화교육학의 기본 관점을 젱하스의 “조직화된 평화부재”와 갈퉁의 “구조적 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재현체계의 폭력을 분석한다. 이러한 비판적 성찰은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게 한다. 그 다음으로 동일성 폭력을 극복하는 이론적 단초로 아도르노 철학에 나타난 미메시스 개념을 탐구한다. 미메시스 용어는 주체가 사물/자연/객체를 대하는 태도이자 정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대상을 동일화하는 폭력을 인식하는 사유 및 주체의 자기반성을 촉구한다. 이를 통해 재현체계의 비판조차도 기존 학문의 개념 틀을 받아들이는 한, 권력 효과를 낳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미메시스 개념이 평화교육학에 대해 갖는 의미는, 평화교육학의 개념적 인식이 지니는 동일성사고의 위험을 간파하고 차이의 생산가능성으로 사고하는 길을 보여준다는 것에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평화교육학 자체가 대상 세계(이주 현상과 차별 상태)로의 접근을 조건 지우는 물화(fetisch)된 현실과 모순적으로 얽혀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줌으로써 평화교육학의 인식론적, 실천적 확실성에 대한 자기 비판적 성찰의 자극을 주고자 한다. 평화교육학에 주는 시사점으로, 교육이론가 및 실천가 자신의 사회적 위치성에 대한 성찰과 함께 교육실천의 관행을 문제화하는 정치적 프로젝트로서 자기이해, 체제와의 연관성에서 자기비판적으로 성찰하는 평화교육학이 요구된다. 논의를 종합하면서 평화교육학의 목표는 더 이상 사람의 심성이나 도덕성을 바탕으로 한 개인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데 맞추기보다, 총체적으로 정당화된 평화부재와 폭력에 대한 분석과 비판의식 형성에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In line with today’s globalization, national, ethnic, and racial boundaries intersect one another while simultaneously being strengthened. How can peace education contribute to reducing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in an era of global migr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eace education in a migrant society while also examining new emancipatory possibilities. The basic perspectives of critical peace education, which identifies peace discussions as social critique, is first reviewed focusing on Senghaas’ concept of an “organized absence of peace” and Galtung’s concept of “structural violence,” and then the violence of the systems of representation is analyzed. This critical reflection begs the question: Who are “we?” Next, the concept of mimesis in Adorno’s philosophy as a theoretical basis for overcoming identity violence is examined. The term mimesis may be understood as the attitude and spirit with which a subject treats things, nature, and objects. It calls for self-reflec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ason for recognizing the violence that identifies the object. Even critiques of representational systems have a powerful effect as long as they accep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existing discipline.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mimesis for peace education is that it recognizes the danger of sameness in the conceptualization of peace education and shows how to think in terms of the productive potential of differenc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aims to stimulate self-critical reflection on the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certainties of peace education by elucidating the idea that peace education itself is contradictorily entangled with fetishized realities that condition access to the target world (migration phenomena and discriminatory conditions). The implications for peace education call for a peace education that is self-reflective in its self-understanding and connection to the system as a political project that problematizes institutional practices alongside reflection on the social positioning of educational theorists and practitioners. In this respect, the goal of peace education would no longer be to change individual minds based on human psychology or morality but rather to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nd critique the collective justifications for the absence of peace and violenc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