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경제초기 구동 메커니즘에 따른 제초성능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of Weeding Machine according to Driving Mechanis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Oct 30, 2020 25(2):124
Subject
기계화
제초기
메커니즘
Language
Korean
Abstract
국내 밭작물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한중 FTA 등 농산물 개방화로 밭작물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촌인구는 2000년 403만명에서 2018년 23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율은 2000년 21.7%에서 2018년 44.7%로 농촌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어 밭작물 기계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민들의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와 안전한 먹거리 생산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친황경 농산물 시장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기농업에서 잡초 방제를 위한 제초작업은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농민에게 부담이 되고 있으므로 중경제초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여성화 되고 있는 국내 농촌에서 고령·여성 농업인도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 전동 배부식 중경제초기 개발을 위하여 제초 메커니즘에 따른 제초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제초기는 전동 배부식으로 경량화를 위해 배터리는 가방을 이용해 등에 짊어지고 제초 도구만을 이용하여 제초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제초기는 날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반경이 지면에 수직인 수직회전 방식과 회전반경이 지면에 수평인 수평회전 방식 2가지의 제초기를 제작하였다. 2가지 방식의 중경제초기를 이용하여 제초성능을 분석한 결과 수직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율은 86.7~91.4%로 나타났으며, 수평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율은 100%로 조사되었다. 수직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날이 지면을 깊게 파고 들어가지 못하여 잡초의 뿌리 제초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앙에 위치한 기어박스 부분이 제초가 되지 않아 제초율이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평회전 방식의 경우 뿌리 제거는 가능하나 제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제초날 형상 및 배치 등에 따른 추가 실험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