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카카오톡 사용양상 분석
An Analysis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e by gender in KakaoTalk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민족어문학 / Hanminjok Emunhak. Jun 30, 2017 76:163
Subject
카카오톡(KakaoTalk)
성별어(gender language)
음운 첨가(phoneme addition)
모음 변형(vowel modification)
`ㅅ` 탈락(`ㅅ` elision)
발화단위(utterance unit)
의성어(onomatopopia)
이모티콘(emoticon)
문장부호(punctuation)
비속어(slang)
유행어(buzzword)
Language
Korean
ISSN
1229-0742
Abstract
이 연구는 카카오톡에 나타난 언어적 특징을 바탕으로 성별 차이를 분석하여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카카오톡 언어는 메신저로서 준구어적인 성격이 강하며, 관계 형성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한 매체이다. 카카오톡에 나타난 음운 및 표기적 특성에서는 발음이나 표기면에서 쉽게 간단하게 사용하려는 경제성의 관점과 재미와 대화 분위기를 위한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어휘 및 기타 특징으로는 의성어, 이모티콘, 문장부호 사용 등이 있는데, 이를 통해 비대면 대화에서 알 수 없는 화자의 감정과 느낌을 나타내며 대화를 원활하게 유지하고자 한다. 통사적 특징으로는 발화 단위 형식의 다양함, 발화 단위를 끊어서 사용한다는 점이다. 성별에 따른 음운 및 표기적 특징 차이를 살펴보면, 된소리, `ㄹ` 첨가, 오타 사용은 남학생에서 높게 나타났고, `o` 첨가, `ㅅ` 탈락 현상은 여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어휘 및 기타 특징에서 의성어 사용은 성별로 대별되는 사례가 나타났으며, 이모티콘 사용에서는 여학생은 다양한 유형의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반면, 남학생은 한글 자모 이모티콘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비속어는 남학생이, 유행어는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였다. 통사적 특징에서는 남학생들이 문장 끊어 쓰는 빈도가 높았으며, 친구관계일 때 빈도가 높았다. 이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언어 사용이 전통적인 입장과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언어 사용은 대화자의 성별, 관계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해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 according to linguistic characteristic in KakaoTalk. The KakaoTalk as a messenger is written by letter but has the property of quasi-spoken language, private media based on personal relationship. As a net language, the KakaoTalk language writes in short and diversely the purpose of economics and fun. The utterance unit of KakaoTalk is various, uses cutting a sentence off and also doesn`t match rhythmic unit with syntax structure. The use of onomatopopia, emoticon and punctuation marks play a role of semi-linguistic or non-linguistic expression i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 by gend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characteristic of phoneme and writing, male students use tensification and `ㄹ` addition, female students `ㅇ` addition, vowel modification and `ㅅ` elision in high frequency. Second, in the characteristic of vocaburary and the others, female students use a few kinds of emoticon, male students use vowel and consonant of hangeul especially. Also male students use punctuation marks in high frequency, was similar to female students in the aspect and frequency. Male students use a slang than female, female students use a buzzword than male.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syntax, male students often use cutting a sentence off. Also it frequently uses when communicators are friend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