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 빈곤을 경험하는 후기 청년의 성인기 과업 이행과정 탐색: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Late Youths Experiencing Housing Poverty: Focusing on Gosiwon Residen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청소년복지연구 /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Mar 31, 2024 26(1):133
Subject
고시원
청년
주거빈곤
발현 성인기
성인기 과업
Gosiwon
youth
housing poverty
emerging adulthood
adult life task
Language
Korean
ISSN
1229-4705
Abstract
주거 빈곤은 청년들의 삶에 오래도록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다른 형태의 배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주거 빈곤을 경험하는 청년들 중 고시원이라는 작은 독방에 거주하는 20대 후반부터 30대의 후기 청년들에 중점을 두어 성인으로의 전환과 이 중요한 단계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탐구했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고시원에서 생활 중인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의 5명 인터뷰 참여자를 섭외하였고, 1:1 인터뷰를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주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 독립의 계기, 주거 독립과 취업 후 변화, 성인기 과업 이행의 어려움, 불완전한 성인기 과업 이행에 대한 반응이라는 네 가지 주요범주가 나타났다. 이 범주 안에서는 14개의 하위 범주가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주거 빈곤을 경험하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정치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Housing poverty is known to be a major risk factor that has a lasting impact on young people’s lives, often leading to other forms of exclusion. This study focuses on individuals in their late youth phase living in a cramped single room accommodation called Gosiwon, exploring their experience of transition to adulthood and challenges they encounter during this crucial stage in life. For analysis, one on 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dividuals in their late 20s to 30s currently staying in Gosiwon,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in categories: Motivation for housing independence, changes after accomplishing adult life tasks, difficulties in achieving adult life tasks, and responses to incomplete fulfillment of adult life tasks. Within this categories, 14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policy-relate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to enhance the support for late youths experiencing housing povert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