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동화 수준에 따른 세부집단별 고용 및 근로시간 변화: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Effects of automation on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사회보장연구 /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Feb 28, 2024 40(1):31
Subject
자동화
고용
근로시간
비정규직
간접고용
제조업
automation
employment
working hours
irregular workers
dispatched workers
manufacturing
Language
Korean
ISSN
1225-5866
Abstract
본 연구는 자동화가 고용과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이나 산업 및 지역 수준에서 이 주제에 접근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종 특정한 국가적 맥락과 사업체 수준에서 자동화에 대응하는 방식을 주목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자동화가 정규직, 비정규직, 간접고용에 미치는 차등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가 고용 및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 그룹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의 격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동화 수준은 대기업의 경우 간접고용 수 증가에, 중소기업의 경우 직접고용 비정규직 수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집단에 관계없이 자동화 수준이 높을수록 근로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동화의 영향으로 인해 불안정한 고용이 증가하고 근무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자동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인 제도적 개입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omation on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Previous studies have approached the topic at the national level or at the industry or regional level. However, they often miss the specific national context and how businesses respond to automation at the firm level. Also, they do not focus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utomation on regular and irregular or atypical employmen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automation on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by subgroups. We used biennial data from the Workplace Panel Survey from 2015 to 2019.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autom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number of dispatched workers for large companies and the increase in irregular employm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egardless of the occupation, higher levels of automation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hours worked. Overall, the findings that the effects of automation can lead to increased precarious employment and longer working hours suggest that close monitoring of automation’s impact on employment and active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re increasingly important.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