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중 곡예의 글쓰기, 엘리자 수아 뒤사팽 읽기
Elisa Shua Dusapin, Writing of Aerial Acrobatic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Apr 30, 2024 32(1):13
Subject
엘리자 수아 뒤사팽
프랑스-한국
스위스
유라시안
속초에서의 겨울
파친코 구슬
블라디보스토크 서커스
Elisa Shua Dusapin
France-Korea
Swiss
Eurasian
Winter in Sokcho
The Pachinko Parlour
Vladivostok Circus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6-2250
Abstract
엘리자 수아 뒤사팽은 프랑스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프랑스어로 한국에 관한 소설을 써왔다. 그의 초기 세 작품 『속초에서의 겨울』, 『파친코 구슬』, 『블라디보스토크 서커스』에는 유라시안 정체성의 탐색, 그리고 한국(인)의 초상이 드러난다. 이 글은 뒤사팽의 세 작품을 그의 세 번째 소설인 『블라디보스토크 서커스』의 중심 제재가 되는 공중 곡예 러시안 바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며, 두 문화의 차이에서 비롯된 긴장감 속에서 그려지는 한국(인)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했다. 세 소설의 배경은 모두 ‘러시안 바’의 ‘바’, 그리고 연극의 무대처럼 좁고 독특한 장소를 특징으로 한다. 속초, 도쿄, 블라디보스토크와 그곳의 구체적인 장소들은 두 나라를 잇기 위한 허구화된 무대이다. 바의 양 끝과도 같은 다른 문화권 간의 긴장감은 특히 식사 장면에서 두드러진다. 음식에는 개별 문화의 특성이 집약적으로 담겨 있고, 대접된 음식이 거부되는 순간 환대와 돌봄은 언제든 적대와 폭력으로 돌변할 수 있다. 한편, 공중 곡예를 수행하는 곡예사는 중력의 힘을 강하게 느끼는 동시에 응시의 대상이 된다. 뒤사팽의 소설에서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압력과 시선에 노출되는 여성의 신체는 공중 곡예를 수행하는 몸처럼 보인다. 뒤사팽의 소설 쓰기는 잃어버린, 혹은 잃어버린 것으로 상상되는 기원을 되찾기 위한 탐색이라기보다, 지금-여기에 존재하는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의미화하기 위한 행위다. 그리고 그의 소설에서 형상화되는‘러시안 바’의 한 끝으로서 한국은 절대적이고 단일한 기원으로서의 한국이 아니라 안과 밖 두 겹의 시선으로 포착되는 한국이다. 이와 같은 본고의 작업은 단일 국가에 귀속되는 문학이나 희구되는 기원을 상정하지 않는 이중국적 혹은 복수국적의 문학을 논의하는 단초를 마련한다.
Born to a French father and a Korean mother, Elisa Shua Dusapin has written several novels about Korea in French. In her early works, “Winter in Sokcho,” “The Pachinko Parlour,” and “Vladivostok Circus,” she explores the Eurasian identity and depicts Korea and the Korean people. This paper analyzes these three works of Dusapin, focusing on the central motif of the Russian bar in her third novel, “Vladivostok Circus,” in order to examine the portrayal of Korea and Koreans amid tension arising out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s. The settings of the three novels are characterized by unique narrow spaces, such as the Russian bar or the theater stage. Sokcho, Tokyo, Vladivostok, and their specific locations are portrayed as fictionalized stages in order to draw a connection between two countries. Dining scenes particularly highlight the tension between two different cultural spheres, which are much like opposite ends of a bar. Food encapsulat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ultures, and the moment a served dish is rejected, hospitality and care can swiftly transform into hostility and violence. On the other hand, acrobats who perform aerial acrobatics strongly feel the force of gravity while simultaneously becoming objects of the observer’s gaze. In Dusapin’s novels, the bodies of women, who are exposed to the pressure and gaze regarding ideal beauty, appear as if they are performing aerial acrobatics. Dusapin’s writing isn't so much an exploration to reclaim lost or imagined-to-be-lost origins as it is an act of reconstructing and actively designating meaning to the identity of the self that exists here and now. Korea, as one end of the Russian bar, is not perceived as a Korea of an absolute and singular origin, but rather is a Korea captured through a double-layered perspective, from the inside and out. Such an endeavor lays the groundwork for discussing literature that transcends singular national boundaries or eschews a fixed origin, thus paving the way for discourse on dual and multinational literatur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