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벌이가정의 생활행태기반 스마트홈 서비스 도출에 관한 연구 -APT 거주 유자녀 맞벌이 가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Service Based on Living activity of Double-income Families -Focusing on the case of double-income families living in APT-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Dec 31, 2022 17(8):47
Subject
Smart Home
Residential Service
Double-income Families
Living activity
User-centered
스마트 홈
주거 서비스
맞벌이가정
생활행태
사용자중심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과 정보화 기술이 급속히 진전되면서 우리 가정을 둘러싼 주거 환경과 주거 설비 및 서비스 분야에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택을 통해 거주자의 생활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원하는 스마트홈은 기초적인 주거 생활부터 커뮤니케이션 및 휴식, 건강, 오락, 취미, 근무와 학습 등 다양한 인간 생활 전반을 지원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되어온 스마트홈 연구들을 기반으로 맞벌이가정의 생활과 니즈에 가장 부합되는 스마트홈 서비스를 도출하고 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체계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한국 맞벌이가정의 생활을 바람직하게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맞벌이가정을 대상으로 한 F.G.I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그동안 개발되어 온 스마트홈 서비스의 현황 및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의 생활행태 중심으로 재분류하였다. 둘째, 맞벌이가정 F.G.I를 통해 생활상을 기록하는 유저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기존에 개발된 스마트홈 서비스의 필요도를 측정하며, 추가로 생활행태별로 필요한 스마트홈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스마트홈에 관련한 문헌분석 결과, 초기의 스마트홈 서비스는 시설물의 자동제어나 방범 및 안전, 편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뤄졌으나, 2010년대 후반의 연구들에서는 스마트홈 서비스를 주거로 한정하지 않고 교통, 교육, 유통 등 외부환경 및 근린시설과 연계된 서비스로 확장해 나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된 스마트홈 서비스와 최대 IT·가전 박람회인 CES에서 선보이고 있는 스마트홈의 서비스를 종합 분석하여 맞벌이가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가정생활 지원 서비스 70개를 도출하였고, 이를 4가지 영역의 생활행태로 재분류하였다. 셋째, 도출된 70개의 스마트홈 서비스의 필요도를 평가해 본 결과, 가사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과 방범 및 보안, 실내환경 제어 등에 관한 서비스가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자녀와 관련된 서비스에 높은 필요도를 보였다. 넷째, 맞벌이가정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해 논의한 결과, 요리, 청소, 세탁과 같은 가사 활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였고, 집안의 물품이나 식자재에 관한 정보들을 기억하고 정보화하는 서비스 등을 원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맞벌이가정은 일과 양육, 가정생활을 양립하는 생활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스마트홈 서비스가 매우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스마트홈 연구들이 개발된 서비스나 기술 중심으로 분석되고 제시되었던 반면에,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의 생활행태와 니즈에 기반을 둔 스마트홈 서비스를 찾아내려 시도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에서 맞벌이가정의 생활행태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 기술의 발전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many changes are also appearing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rrounding our hom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services. Smart Home supports a variety of family lives, from basic residential life to communication, rest, health, hobbies, work and learning, through IT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mart home services that meet the lifestyle and needs of dual-income families and to systematize them based on Living activity. (Metho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smart home services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for dual-income families were conducted.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smart home service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these were reclassified based on the user's Living activity. Second, through F.G.I, we wrote a user diary that records life, measured the need for developed smart home services, and discussed smart home services necessary for life behavior.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early smart home services focused on automatic control of facilities, crime prevention, safety, and convenience services, but recently, smart home services have tended to expand to services related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distribution. Second, 70 smart home services for dual-income familie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smart home service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nd smart home services presented by CES (Consumer Electronics Show).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need for 70 smart home services derived, services related to housework support,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and indoor environment control were very high, especially those related to child. Fourth, as a result of discussing the services needed by dual-income families, they needed services that directly supported household activities such as cooking, cleaning, and washing, and wanted services to remember and inform information on household goods and food materia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dual-income families need a systematic smart home service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a lifestyle that combines work, parenting, and housework. While previous smart home studies have been analyzed and presented focusing on developed services or technolo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find smart home services based on the lifestyle and needs of dual-income families. In the future, more research on the lifestyle of dual-income families will be conducted, and it is hoped that smart home service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m will be develop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