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모(養母)와 생모(生母) ―제인 정 트렌카의 자기서사와 모녀 관계의 재구성―
Adoptive Mother and Birth Mother: Jane Jeong Trenka’s Self-Narrative and Reconfiguring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민족문화연구 / Korean Culture Research. Aug 31, 2023 100:161
Subject
제인 정 트렌카
『피의 언어』
해외 입양
인종 간 입양
자기서사
모녀서사
Jane Jeong Trenka
The Language of Blood
international adoption
interracial adoption
self-narrative
mother-daughter narrative
Language
Korean
ISSN
1229-7925
Abstract
제인 정 트렌카는 2003년 미국에서 국가 간 인종 간 입양인의 삶을 직접 이야기한 『피의 언어(The Language of Blood)』를 출간했다.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출생해서 생후 6개월 무렵에 미국 미네소타의 백인 가정에 입양되어 미국인으로 성장한 제인 정트렌카가 『피의 언어』에서 한국인 생모(生母)와 미국인 양모(養母)를 서사의 주체로 등장시켰다는 점에 주목하며, 어머니 찾기와 여성되기(becoming-woman)의 과정으로 제인정 트렌카의 자기서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인 정 트렌카는 한국의 어머니가 미국의 딸들에게 보낸 편지를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고, 영어를 모르는 생모에게 답장을 쓰는 것으로 한국의 어머니와 대화를 시도했다. 일기에 가까운 편지를 쓰면서 제인 정 트렌카는 자신과 언니를 입양해 키우는 미국의 양부모보다 자신을 낳아준 어머니가 훨씬 고귀하다는 믿음을 무의식적으로 가지며 수정적인(revisionary) 관계를 설정했다. 성인이 되어 한국에서 생모를 직접 만난 후 자신의 외가가 양반 출신이었음을 확인한 제인 정 트렌카는 양반 가문에 남아 있었던 가부장제의 폐습이야말로 어머니의 삶을 망친 가장 큰 원인이었음을 알게 된다. 딸들을 입양 보냈다는 사실에 괴로워하는 어머니 앞에서 제인 정트렌카는 자신이 미국에서 겪은 성폭력, 인종 차별, 자살 시도, 우울증에 대해 고백할 수가 없었지만, 어머니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딸은 점차 생모의 고통에 공감하게 된다. 헤어진 딸들과 재회 후 어머니는 뇌종양으로 위독해졌고, 제인 정 트렌카는 어머니를 간병하면서 어머니의 몸과 삶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제인 정 트렌카는 어머니의 죽음을 애도하며 한국 사회에서 자기 목소리를 가지지 못했던 어머니를 위해 어머니의 삶을 글로 썼다. 동시에 자신을 입양해 키웠고 오랜 세월 긴장과 애증의 관계를 형성했던 미국 어머니에게도 편지로 서로 다른 몸을 가진 모녀 사이에 극복되기 어려운 슬픔과 고통을 전달했다. 생모와 양모 두 어머니를 어렵게 이해하게 된 제인 정 트렌카는 해외 입양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다루며 저항적인 글쓰기를 시도했다. 제인 정 트렌카의 자전적 글쓰기에서 모녀서사의 문학적 함의와 정치적 가능성을 확인하게 된다.
In 2003, Jane Jeong Trenka published The Language of Blood, a memoir and autobiographical novel about her life as an interracial adoptee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article, I analyze Jane Jeong Trenka’s self-narrative as a process of motherhood and becoming-woman, noting that Jane Jeong Trenka, who was born in South Korea and adopted by a white family in Minnesota when she was about six months old, presents both her Korean birth mother and her American adoptive mother as narrative subjects in The Language of Blood. Jane Jeong Trenka stumbled upon letters written by her Korean mother to her daughters in the United States and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her Korean mother by writing to her birth mother, who did not speak English. In her diary-like letters, Jane Jeong Trenka established a revisionary relationship, subconsciously believing that the mother who gave birth to her was far more noble than the American adoptive parents who raised her and her sister. After meeting her birth mother in Korea as an adult, Jane Jeong Trenka confirms that birth mother’s family was originally from the Yangban, only to discover that the patriarchy that remained in the Yangban was the biggest factor in her mother’s ruined life. Jane Jeong Trenka is unable to open up about the sexual violence, racism, suicide attempts, and depression she experienced in the United States, but as she listens to her mother’s story, Jane Jeong Trenka gradually comes to empathize with her birth mother’s pain. After reuniting with her estranged daughters, her mother became critically ill with a brain tumor, and as Jane Jeong Trenka cared for her mother, she came to accept her mother’s body and life as part of her own. As she mourned her mother’s death, she wrote about her mother’s life as a tribute to a woman who had never had a voice in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she also wrote to her American mother, with whom she had adopted and raised her, and with whom she had a long-standing tense and loving relationship, conveying her feelings of grief and pain to her mother in a different body. Faced with the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both her birth and adoptive mothers, Jane Jeong Trenka turned to resistant writing to place the issue of international adoption on the social agenda. Jane Jeong Trenka’s autobiographical writings reveal the literary implications and political possibilities of mother-daughter narrative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