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책유형별 정책대상집단 특성의 영향력 분석: 국회 정책세미나 참여집단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 of Policy Target Population Characteristics by Type of Policy: Focusing on National Assembly Policy Seminar Participant Group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행정학보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Dec 25, 2023 57(4):313
Subject
policy type
social construction theory
policy seminar
정책유형
사회적 형성 이론
정책세미나
Language
Korean
ISSN
1226-2536
Abstract
본 연구는 정책유형에 따른 대상집단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국회의원 주관 정책세미나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정책유형과 사회적 형성 이론이 상호 연계되어 적용될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에 분배, 재분배, 규제, 구성 등 총 1,322건의 사례를 선정하고 6,215명의 토론자·발제자들을 47개 대상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사회적 이미지 및 권력의 측정값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국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만의 공간적·시기적·문화적 맥락에 맞는 사회적 형성 매트릭스를 재구성하고 그 결과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유형에 따른 대상집단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정책들과 대상집단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체계 정립, 입법부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변화, 정책결정과정에서의 균등하지 못한 참여율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lected policy seminars organized by members of Congress as subject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population and political interactions according to policy typ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olicy types and social construction theory in an interconnected manner was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An extensive dataset of 1,322 cases―distributive, redistributive, regulative, and constituent―was selected The 6,215 participants included both debaters and presenters and were categorized into 47 target population groups. Additionally, a survey involving 500 general citizens was conducted to identify social images and political power indexes. Through these, a unique social construction matrix tailored to South Korea’s specific spatial, temporal, and cultural contexts was developed, and the results were utilized in empirical analyse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diversity of political interactions and characteristics in the target population by policy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suggesting establishing a criteria system for classifying policies and target population, fundamenta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legislative role,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address unequal participation rates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