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다중 텍스트 활용 양상 연구
A study on multiple texts usage patter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우리어문연구 /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Jan 31, 2024 78:465
Subject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읽기 교육
다중 텍스트
텍스트 활용 목적
텍스트 사용 언어
텍스트 출처
텍스트 양식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Korean reading education
multiple texts
purpose of text use
language used in text
text source
text type
Language
Korean
ISSN
1226-7341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 수업의 과제 수행 상황에서 다중 텍스트를 활용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다중 텍스트 활용은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관련성이 있는 여러 개의 다른 텍스트를 찾아 내용을 통합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학습자들마다 텍스트 이해 수준이 같지 않고 다중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어 읽기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활용 목적, 텍스트 사용 언어, 텍스트 출처, 그리고 텍스트 유형이라는 4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검색한 총 63개의 다중 텍스트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주제 이해를 위해 다중 텍스트를 활용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고, 학습자들의 모국어로 된 텍스트를 찾은 경우도 2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적 텍스트의 비율이 68%였으며, 텍스트 양식에 있어 단일양식 텍스트를 찾은 비율이 83%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어 읽기 교육 현장에서 다중 텍스트 활용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use multiple texts when performing tasks in Korean reading classes. Multi-text utilization refers to an activity in which learners find several other related texts and integrate the cont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xt. Considering that the level of text comprehension is not the same for each learner and the way they utilize multiple texts is different, examining the specific aspects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63 multiple texts searched by learners based on four criteria: purpose of text use, language used in text, text source, and text type. Learners most frequently used multiple texts to understand topics, and the number of times they found texts in their native language was relatively high at 25%.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private texts was 68%, and the proportion of single-style texts was found to be quite high at 83%.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pose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use of multiple texts in futur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