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쇄골간부 불유합의 골 고정술 시행 후 발생한 진행성 상완신경총 마비- 증례 보고 -
Progressive Brachial Plexus Palsy after Fixation of Clavicle Shaft Nonunion- A Case Report -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골절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Apr 25, 2019 32(2):97
Subject
Clavicle fracture
Nonunion
Brachial plexus neuropathy
Thoracic outlet syndrome
쇄골 골절
불유합
상완신경총 마비
흉곽출구증 후군
Language
Korean
ISSN
1225-1682
Abstract
쇄골 골절 후 발생하는 상완신경총 마비는 0.5%-9.0% 정도로 드물게 발생한다. 대부분 보존치료 후 골절부의 치유과 정에서 형성된 과도한 가골에 의해 발생하며 가골의 제거와 불유합에 대한 수술적 고정으로 회복된 좋은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 반면 수술 후 발생한 경우는 드물며 국내외에 7건이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쇄골 골절 후 전위된 불유합 환자에 대하여 골 고정술을 시행하고 발생한 진행성 상완신경 총 마비를 경험하였다. 내고정물 제거를 시행하고 호전되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The brachial plexus palsy is a rare complication of a clavicle fracture, occurring in 0.5% to 9.0% of cases. This condition is caused by excessive callus formation, which can be recovered by a spur resection and surgical fixation. In contrast, only seven cases have been reported after surgical reduction and fixation. A case of progressive brachial plexus palsy was observed after fixation of the displaced nonunion of a clavicle fracture. The symptom were improved after removing the implant.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