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 만들기: 1960년대 연산군 영화 연작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바탕
Framing History: Ideological Underpinnings in the 1960s Yǒnsan Film Seri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현대영화연구. Jun 30, 2023 49:33
Subject
Prince Yŏnsan
Yŏnsan
the Tyrant
Historical drama films
National history
the April Revolution
May 16 Coup
Family tragedy
Shin Sang-ok
<연산군>
<폭군 연산>
1960년대 사극
민족사
4월 혁명
516 군사 쿠데타
가정 비극
신상옥
Language
Korean
ISSN
1975-5082
Abstract
1960년대 한국 사극은 통합되고 지속적인 민족이라는 공유 감각과 동시에 식민과 전쟁의 실패한 민족사와 단절한 새로운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모순되는 역사감각을 창출할 필요성이 있었던 당대 이데올로기적 요구를 반영한다. 이러한 요구를 잘 드러내는 신상옥의 연산 시리즈는 조선 왕조의 역사를 근대 한국의 역경과 실패의 기원으로 묘사하며, 4월 혁명이후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군사 정권의 이데올로기를 구현한다. 신상옥은 <연산군>(1962)과 <폭군 연산>(1962)의 연작 영화를 통해 국가통치와 정치적 격변이라는 공적 문제를 왕가의 가족비극이라는 사적 형식으로 탐구하며, 당대의 이데올로기적 요구를 멜로 드라마의 방식으로 충족시킨다. 이 영화에서 조선 왕조의 폭군, 연산군에 대한 묘사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적 목적을 충족시킨다. 첫째, 국가가 지속적인 국가 역사를 보존하고 공유된 민족 정체성의 바탕을 제시한다. 이는 조선 왕조를 화려하게 시각화하는 스펙타클을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조선 왕조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한국의 과거와 현재 사이에 단절을 만들고, 새로운 민족국가 형성을 정당화한다. 연산군 시리즈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융합, 가족 문제와 정치적 사안의 교차를 통해 조선 왕조의 역사를 가족의 비극으로 묘사한다. 특히 폭군 연산은 정의로운 쿠데타를 제시하지만, 연산군의 뒤늦은 참회를 감정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보다는 정치 권력의 공허한 속성을 암시하는 허무주의를 표현한다. 이러한 허무주의는 이 영화가 군사정권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면서도, 그 균열, 즉 4월 혁명의 붕괴에 대한 좌절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Korean historical films in the 1960s demonstrate the ideological imperatives of the era, which involved constructing a unified and enduring national identity while simultaneously fostering a contradictory historical perspective: the establishment of a new nation-state that diverged from the failed national history of colonization and the Korean War. The Yŏnsan series by Shin Sang-ok exemplifies this necessity by portraying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as the origin of modern Korea’s struggles and failures, embodying the ideology of the military regime that seized power in a coup following the April Revolution. Through the films in the series, Prince Yŏnsan (1962) and Yŏnsan, the Tyrant (1962), Shin delves into the public matters of state governance and political turmoil under the private guise of a royal family tragedy, satisfying the ideological requirements of the era through the narrative of melodrama. The depiction of the tyrant, King Yŏnsan, in these films serves dual ideological functions. Firstly, it preserves a continuous national history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a collective national identity, achieved through the visual spectacle of the Chosŏn Dynasty in all its magnificence. Secondly, by critically appraising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it establishes a disjunction between Korea’s past and present, thus legitimizing the formation of a new nation-state. By converging private and public realms and intertwining familial and political concerns, the series portrays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as a family tragedy. Specifically, Yŏnsan, the Tyrant is depicted as staging a justifiable coup; however, through the emotive portrayal of Yŏnsan’s belated repentance, the film communicates a sense of nihilism that implies the vacuous nature of political power rather than fostering optimism for the future. This nihilism can be interpreted as the film’s endorsement of the military regime’s ideology while simultaneously expressing disillusionment with its inherent flaws, such as the collapse of the April Revolu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