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겸재(謙齋) 박성원(朴聖源)의 학문관과 붕당론
Gyeomjae Park Sungwon’s Views of Learning and Factionalis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사상사학 / The Study of Korean History of Thought. Aug 31, 2023 74:201
Subject
박성원
학문의 위계
붕당론
과거 출신
科目
산림
山林
Park Sungwon
academic hierarchy
factionalism
gwamok
officials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Sanrim
Language
Korean
ISSN
1226-9441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 낙론계 지식인인 겸재 박성원의 학문 인식과 붕당론을 분석했다. 그의 심성론과 예학을 분석한 기존 연구 성과는 박성원이 스승이었던 이재의 학문을 자신의 문제의식에 따라 계승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본고는 박성원 후손가에서 기탁해 간행된 『박성원문집』(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료총서 60)을 활용해 기존에 주목받지 못한 그의 학문관과 붕당론 등 정치사상을 살펴보았다. 박성원의 학문관과 붕당론은 개방성과 폐쇄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학습자는 자신의 마음가짐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과거(科擧) 준비/진정한 학문이라는 학문적 위계를 넘어설 수 있었다. 이는 군자인 노론/소인인 소론이라는 정치적 구분에도 똑같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방적 측면은 제한된 집단에 한정된 경향이 강했다. 군자인 노론계 지식인이 스승이 되고 소인인 소론계 지식인이 잘못을 깨닫고 제자가 되었을 때 충분히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그의 대답은 이를 잘 보여준다. 박성원은 학문, 정치 현실 속에서 발생하는 이상과 현실의 간극 그리고 자신이 속한 집단의 대응을 나름대로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학문의 위계를 활용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views of learning and factionalism posited by Gyeomjae Park Sungwon, a Nak school (洛論系)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evious research on Park Sungwon has shown that Park carried on the scholarship of his mentor Yi Jae (李縡) in accordance with his own perspectives. This paper used Parksungwonmunjip (Collected Work of Park Sungwon), which was published with the entrustment of Park Sungwon’s descendants, to examine Park’s previously overlooked political views, such as his thoughts towards learning and factionalism. Park Sungwon’s views of learning were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minded. Through their attitude of mind, learners could readily overcome the academic hierarchy of prepar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pursuing true scholarship. This also applied to the political classification of the Noron (老論) as junzi (君子) and the Soron (少論) as xiaoren (小人). However, such openness tended to be limited to certain groups, as is evident in Park’s remark that the quality of a person can be sufficiently changed if the Noron scholar, who is a junzi, becomes the master and the Soron scholar, a xiaoren, can realize his mistake and become the pupil. Park Sungwon used the academic hierarchy to rationalize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