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법장의 「현전지」(現前地) 해석에 대하여
A Study on Fa-Tsang’s Commentary on Abhimukhī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불교학 / Hanguk Bulkyo Hak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Feb 28, 2024 109:125
Subject
무아
법계연기
십종연기관
여래장
유심
탐현기
현전지
Abhimukhī
cittamātra
Dependent - arising of the Dharma Realm
Huayanjingtanxuanji
No-self
Tathāgatagarbha
The Ten Insights into Pratītyasamutpāda
Language
Korean
ISSN
1225-0945
Abstract
60화엄의 주석서인 법장의 탐현기 에서 「십지품」 제 6 「현전지」(現前地)의 주석은 세친의 십지경론 이 경전과 함께 해석되고 있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법장은 「현전지」의 실천도인 십종연기관(十種緣起觀)의 주석에서 세친 논을 자신의 주석 구성에 포함, 4중 해석을 수립한다. 법장은 지혜와 자비의 의미를 함의한 네 가지 관점에서 십종연기관 각각에 대해 경전과 논서를 교차하며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법장은 세친의 「현전지」 해석의 구성과 용어들을 답습한다. 그러나 유심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화엄가의 입장에서 세친 논을 극복하고자 시도하는데 그것은 세친 논의 유심(唯心)에 대한 여래장적 해석으로 나타난다. 법장은 잡염과 화합하는 것으로서 심체(心體)의 청정성을 상정하여 세친이 해석한 유심의 의미를 여래장(如來藏)으로 파악한다. 법장은 세친이 유심을 포함한 연기관의 목적이 무아(無我)라고 한 것을 의식하면서도, 12지분들의 생멸의 근거가 되는 근본식에 대해 여래장 개념을 도입하려 한다. 이는 법장이 세친 논을 독해하면서 기신론과 같은 여래장계통 문헌들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로서 그는 십지경론 을 교판상종교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법장은 세친을 계승하면서도, 동시에 여래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법계연기를 이론적으로 구축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orm and content of Fa-Tsang(法藏)’s commentary on the Abhimukhi (現前地), the sixth bodhisattva stage of the Avataṃsaka Sūtra (華嚴經). The interpretation of Abhimukhi in Fa-Tsang’s commentary on the Avataṃsaka Sūtra differs from the commentaries on the other chapters in that it also includes Vasubandhu’s commentary, the Daśabhūmivyākhyāna (十地經論). In his commentary on the Ten Insights into Pratītyasamutpāda (十種緣起觀), the sixth stage of bodhisattva practice, Fa-Tsang establishes four forms of interpretation, including Vasubandhu’s. Fa-Tsang’s commentary draws on the organization and terminology of Vasubandhu’s interpretation. However, on important ideas about cittamātra (唯心), Fa-Tsang attempts to go beyond Vasubandhu’s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ayan School. This is revealed in Fa-Tsang’s interpretation of Vasubandhu’s explanation of cittamātra as Tathāgatagarbha (如來藏). Fa-Tsang understands Vasubandhu’s interpretation of cittamātra as including both impurity (雜染) and purity (淸淨), and such ideas are characteristic of the Tathāgatagarbha. While Fa-Tsang acknowledges Vasubandhu’s tenet that the purpose of the Ten Insights into Pratītyasamutpāda, including cittamātra, is No-self (無我), he also understands the ground of the birth and cessation of the twelve chains as Tathāgatagarbha. In interpreting Daśabhūmivyākhyāna’s cittamātra, Fa-Tsang was influenced by texts belonging to the Tathāgatagarbha such as Qixinlun (起信論). This corresponds to Fa-Tsang’s identification of Daśabhūmivyākhyānaas the final teaching (終敎) rather than the initial teaching (始敎) in the Doctrinal Taxonomy of Huayan (華嚴敎判). In conclusion, Fa-Tsang, in his Commentary on Abhimukhī, embraces Vasubandhu’s theory while also introducing the term Tathāgatagarbha, thus encompassing both to form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of the Dharma Realm (法界緣起)”.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