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인청의 역사적 전개 양상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aeinchung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남도민속연구. Dec 31, 2022 45:139
Subject
신청
장악청
세습 예인
나례청
무속
나주 신청
장흥 신청
경기도 재인청
전통예술
판소리
Shincheong
神廳
Jangakcheong
掌樂廳
inherited artisans
Narye
Jangheung shincheong
Naju shincheong
Gyenggodi Jaeinchung
traditional art
pansori
Language
Korean
ISSN
1975-4728
Abstract
재인청은 무부와 재인·광대들의 조직체로서 긴 기간 존속했다. 재인청이 학술적으로 중요한 대상으로 간주되지만 그 역사적 내력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기존에는 널리 알려진 몇 자료만으로 특정 시기의 상황을 고정화해서 파악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관련 자료를 망라해서 다루고자 하며 특히 성립배경을 상세히 맥락화하는 데 역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재인청은 나례(儺禮)와 같은 국가적 행사만이 아니라 지역의 예술 전통을 주도하던 예인들의 조직체이므로 20세기 사례까지 확장해서 전 시기의 양상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인청의 전승 내력과 실질적인 기능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재인청의 대표 문서로 꼽히는 「갑신완문」과 「경기도 창재도청안」에 병자년(1636)과 갑진년(1784)이 거론되므로 그 전후 맥락을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 주요 흐름을 파악해볼 때, 행정 조직을 통해 재인을 동원하는 것이 어렵게 되자 1636년 이후부터 재인 자치 조직에게 위탁하여 나례를 거행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형태는 공식적으로 나례가 폐지되는 1784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과정을 거치면서 18세기 후반에 재인청이 전국적인 조직으로 부상하고 「갑신완문」이 작성된 갑신년(1824)에 체계적으로 재정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재인청의 조직 구성을 보면 팔도를 관할하는 중앙조직과 지방 군 단위 조직까지 체계적으로 갖춰진 것을 볼 수 있다. 재인청의 기능은 대내외적인 것들이 망라돼 있었다. 이는 신청(神廳), 악공청(樂工廳), 장악청(掌樂廳), 광대청(廣大廳), 무부청(巫夫廳) 등 이칭이 많은 것과도 관련 있다. 주요 기능을 간추리면, 중앙과 지방 관아의 공연 활동, 무속집단의 권익 보호와 관련된 활동, 소리와 악기 연주·춤 등을 전수하는 기능, 조직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 무업 관련 규범을 수립하고 전수하는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무업과 직접 관련된 기능은 무속의 권역적 특징을 설명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재인청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했다. 재인청 문서를 통해 19세기 지방 재인청의 활동상을 파악할 수 있다. 충청도 광대 도중 문서는 소속 광대들이 한강을 건너 서울을 왕래하고 공연 활동을 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대외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지방 재인청에서는 소속 광대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공연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장흥신청 문서에는 무속집단의 권익보호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록이 있으며, 나주신청에서는 긴 시기에 걸쳐 여러 종류의 문서를 발간했으며 나례와 관련된 역할을 명시한 기록을 남겼다. 각지의 지방 재인청이 대내외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했음을 보여준다. 19세기말 20세기 초가 되면 재인청의 공식적인 역할이 축소되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나타난다. 하지만 변동 사항과 함께 중건 이후의 활동상이 연결되는 데서 보듯이 1920~30년대에도 재인청의 기능이 유지되었으며 1939년에 재건되는 사례도 나타난다. 각 사례들을 종합해볼 때, 재인청은 긴 기간 지역 전통예술 전승의 구심점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토대 위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명인명창들이 배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재인청은 전통시대 예인들의 활동만이 아니라 근대기의 전승 판도와 연결되는 상황들을 보여준다. 재인청의 문화사적 위상이 각별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Jaeinchung continued to survive as an organization of warriors, clowns, and entertainer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Jaeinchung is considered an important object in the academic circle, however, its origin and history is not studied in detail. In the current context, there is a tendency to use a few well-known materials as the representative explanations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circumstances. In this study, the related materials are studied in depth and the focus is mainly on contextualizing the establishment circumstances of Jaeinchung. In addition, Jaeinchung is an organization of performers who not only led the national events such as Narye(儺禮) but also the local art tradition. Therefore, the aspects of the whole era including the cases of the 20th century will be covered. This will disclose the transmission history of Jaeinchung and its practical functions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 representative documents of Jaeinchung 「Gapsinwanmun」 and 「Gyenggido Chanjaedochungahn」 mention the Byungja year(1636) and the Gapjin year(1784) and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se events need to be scruti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main flow, when it became difficult to mobilize performers through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eginning the year of 1636, Narye was entrusted to the autonomous performers’ organization. This format continued until 1784 when Narye was officially abrogated. Through this process, from the late 18th century, Jaeinchung emerged as a nation-wide organization and in the Gapsin year(1824) when 「Gapsinwanmun」 was documented, Jaeinchung was systematically reorganized. The establishment process reveals that Jaeinchung did not exist as a subordinate unit for national events but it continued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and thrived in its activities through the momentum it gained in private sectors.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Jaeinchung shows that it had the central unit to cover the whole nation as well as local units. The internal and external functions of Jaeinchung are as follows: Shinchung(神廳), Akgongchung(樂工廳), Jangakchung(掌樂廳), Gwangdaechung(廣大廳), Mubuchung(巫夫廳), and etc. The main functions cover the performance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 activities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performers’ unit, the function to transmit the instrument playing and dance, the activities to reinforce the solidarity of the organization, and finally the function to set up and promulgate the regulations and rules for performers. Among these, the function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ers do provide evidence to learn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folklore. Jaeinchung served various and complex functions. The Jaeinchung documents provide a window into the life of local Jaeinchung in the 19th century. Chungcheongdo Jaeinchung documents show that it served an external role for its performers to travel to Seoul and perform without hazard. Local Jaeinchung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s of its performers and provide a stable performing environment. There is a detailed record that is related to protecting the interests of performers’ unit in Jangheung shincheong but Naju shincheong published a variety of document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left a very concrete record in terms of the role with Narye. These all work to show that the respective local Jaeinchung thrived internally and externall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role of Jaeinchung began to diminish and stop. However, with the changes along with the activities since the rebuilding, the function of performers continued through the 1920~1930’s and there is even a case of rebuilding in 1939. The above mentioned cases show that Jaeinchung played a central role in transmitting the local traditional ar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On its foundation, masters and master singers were produced. In addition, Jaeinchung shows not only the activities of traditional artisans but also the situations that connected the transmission stage into the modern period. It all shows that the cultural status of Jaeinchung is distinguished.

Online Access